"1분기 전 GDP대비 0.72% 추가 자본유출..1분기 후 0.52% 자본유입"
"미 연준의 커뮤니케이션 등으로 영향 선반영된 탓"
"비동조성·재정건전성 크고 변동환율제, 자본유출 규모 작아"
[이데일리 하지나 기자] 한국은행은 실증분석 결과 미 연준의 금리인상에 따른 자본유출은 주로 신흥국에서 금리인상 직전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미국 금리인상 시작 이후에는 오히려 자본이 유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한국은행은 해외경제포커스에서 “선진국과 달리 신흥국의 경우 금리인상이 시작되기 1분기 전에 국내총생산(GDP)대비 0.72%의 추가 자본유출(100bp)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했다”고 말했다.
선진국의 경우 1분기 전 GDP대비 0.21% 자본유출이 이뤄진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금리인상 시작 1분기 이후 신흥국의 경우 오히려 GDP대비 0.52% 규모의 자본이 추가 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선진국은 GDP대비 0.31%의 자본이 유입됐다.
이어 한은은 과거 연준의 정책금리 인상폭을 기초로 추산한 결과 신흥국과 선진국은 금리인상 1분기 전 각각 GDP대비 3.5%, 1.6%의 자본유출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준우 국제종합팀 조사역은 “이와 같이 연준의 금리인상 이전에 자본유출이 발생하는 것은 연준의 커뮤니케이션 등에 따라 금리 정상화의 영향이 시장에 선반영된데 따른 것”이라고 진단했다.
한편, 미 연준 통화정책과의 비동조성, 재정건전성, 변동환율제 등이 연준의 금리인상으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일부 상쇄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정 조사역은 “미 연준 통화정책과의 비동조성과 재정건전성이 높을수록, 변동환율제 시행국가일수록 자본유출 규모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반면 정책금리 인상을 통한 내외 금리차 축소가 자본유출을 억제한다거나 자본시장의 개방도가 높을수록 자본유출이 심화된다는 주장은 통계적 근거가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