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러한 내부 비판의 칼날은 결국 이 대표를 향했습니다. 단순히 이번 코인 사태 때문만은 아니었습니다. 이 대표 체제가 출범한 지난해 8월부터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기소돼 ‘사법 리스크’에 잠식됐을 때부터 이 대표의 ‘리더십 문제’는 줄곧 제기돼왔습니다. 그 이후 자신과 노웅래 의원 체포동의안 처리, ‘기소 시 직무 정지’ 내용을 담고 있는 당헌 80조 예외 적용 등과 관련해 ‘방탄’ 논란을 스스로 키우며 당의 신뢰도를 떨어뜨렸습니다.
이번 김 의원의 가상자산 투기 논란으로 민주당은 자신들이 가장 앞세우던 도덕성에 위기를 맞았죠. 거듭되는 사태로 당이 위기에 놓였지만 이 대표의 측근인 김 의원에 대한 ‘온정주의’로 즉각적인 대응에 이르지 못했습니다. 김 의원의 탈당을 막고 징계 조처를 할 수 있도록 이 대표가 앞장서야 했다는 것이 당내 평가입니다. 이 때문에 사그라졌던 이 대표를 둘러싼 ‘사법 리스크’에 ‘리더십 리스크’가 더해지면서 이 대표의 거취에 대한 물음표가 더욱 생기는 형국이 된 것이죠.
결국 김 의원이 탈당한 후 열린 ‘쇄신 의총’부터 이번 한 주 내내 이 대표를 향한 지적은 ‘리더십 붕괴’로 요약됐습니다. 지난 14일 열린 장장 6시간의 의원총회에선 대표로서 당내 현안에 대한 대처에 실패했다는 의견부터, ‘재신임을 각오하고 문제를 풀어달라’는 주장, 대표직 사퇴 등 이 대표의 면전에 리더십 문제가 쏟아졌습니다.
비명(非이재명)계 의원은 “돈 봉투 사건의 경우 (송영길 전 대표의) 캠프에서 일어났었기에 과정을 파악하는데 시간이 걸렸다 쳐도 김 의원에 대한 사과는 너무 늦었다”며 “이 대표도 잘 알듯이 법의 문제가 아니다. 매번 이야기하는 ‘국민적 눈높이’의 문제이기에 ‘9일 만의 사과’는 늦은 대응”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다른 비명계 의원도 “괜히 ‘도덕적 불감증’이라는 말이 나오는 것이 아니다. 대표마저 떳떳하지 못하면 민주당은 쇄신할 수 없다”고 자성의 목소리를 냈습니다.
친명(親이재명)계에서도 우려를 표명하기도 헀습니다. 한 친명 인사는 “이렇게 치러선 이길 수 없다. 정말 비대위(비상대책위원회)가 연말에 들어설 가능성이 크다”며 “지금 이 대표가 해야 할 것은 강성 지지층에 휘둘린 지도부에 말을 듣는 것이 아닌 자신의 정무감각”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앞서 조응천 의원이 “행정가 때를 벗지 못한 것 같다”고 평가한 것과 같은 맥락으로 풀이됩니다.
이 대표를 둘러싼 ‘사법 리스크’가 완전히 해소되지 않아 리더십을 발휘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온정주의가 더해져 사태를 더 악화한다는 분석입니다. 내년 총선을 이기고, 대선 후보로 다시 도약하려면 당내 의원들을 상대로 ‘당 통합’을 외치는 것은 오히려 독이 된다는 당내 목소리입니다. 이 대표의 ‘사이다’를 다시 한 번 기대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