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모잘탄은 암로디핀과 로사르탄을 결합한 복합제 의약품으로 한미약품을 대표하는 치료제 중 하나다. 이미 국내에서도 연간 800억원이 넘게 원외에서 처방되고 있다. 아모잘탄과 관련된 제품군은 국내에서 누적 처방매출 1조원을 넘어서는 기념비적인 기록도 세웠다.
한미약품은 아모잘탄의 시장 진출에 이어 이상지질혈증 치료제인 로수젯의 가능성도 엿본다. 아모잘탄의 성공적인 정착 이후 로수젯도 연착륙을 시키겠다는 의지다. 한미약품은 로수젯에 대해서도 중국 정부에 시판허가를 신청할 계획을 갖고 있다.
HK이노엔(195940)의 ‘케이캡’도 중국 상륙을 시작했다. 위식도역류질환 치료 신약인 케이캡은 국내 출시 3년 만에 원외처방액 1000억원을 넘어선 블록버스터 제품이다. 중국 파트너사 뤄신과 함께 현지 판매에 본격 돌입했다. 케이캡의 중국 제품명은 ‘타이신짠’이다.
케이캡은 이미 인도네시아, 태국, 필리핀, 베트남,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시아 6개국에 진출했다. 국제적으로는 27개국에서 팔리고 있다. 이번 중국 시장 진출로 HK이노엔은 2000억원의 연 매출 목표를 노리고 있다. 중장기적으로 연 매출 6000억원을 목표로 한다.
대웅제약(069620)의 ‘펙수클루’도 중국 진출을 서두르고 있다. 지난 2020년 말 중국 NMPA로부터 임상3상 시험 계획을 승인받아 현지에서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다. 내년까지 임상3상을 마무리 짓고 오는 2024~2025년께 출시를 하겠다는 계획이다.
SK바이오팜(326030)의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의 중국 출시도 기대된다. 오는 2025년 출시를 목표로 임상 3상이 진행 중이다. SK바이오팜은 지난해 중국 현지에 ‘이그니스 테라퓨틱스’를 설립하고 중국 시장 진출의 발판을 마련했다.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거느린 국가다. 제약 산업의 규모는 미국에 이은 2위에 이른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중국의 제약 시장 규모는 1498억 달러(187조원)로 전세계에서 12.8%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여기에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어 국내 제약·바이오의 진출이 이어질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제약사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 받은 제품들을 앞세워 중국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라며 “중국 역시 고령화를 겪고 있는 사회인 만큼, 국내 제약사들의 중국 수출 규모가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