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국 런던 개업의 샘 웨슬리 박사는 5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와의 인터뷰에서 “이전에는 환자의 95%가 진료를 받기 위해 찾아왔다. 수십년 동안 이 흐름은 바뀌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에는 완전히 반대로 바뀌었다”고 말했다.
코로나19 확산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는 가운데 미국과 유럽, 중국, 일본 등 전세계 국가에서 원격의료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의료진들을 위한 마스크조차 부족한 상황에서 코로나19 노출을 우려해 대면접촉이 줄어들고 있기 때문. 정부와 의료기관들도 원격의료를 의료진 감염을 막기 위한 차선책으로 보고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원격의료가 원칙적으로 금지돼 있는 한국도 일시적으로 부분 허용했다.
◇日 라인통해 온라인 건강상담
|
미국 역시 급속히 원격의료 건수가 늘어나고 있다. 미국 시장 조사회사인 포레스터 리서치는 코로나19 사태로 3월 원격의료 수요가 40% 증가했다며, 이같은 추세가 지속될 경우 최고 10억건의 원격의료가 진행될 것으로 전망했다. 당초 포레스터 리서치의 올해 예상 원격의료 건수는 3600만건이었다.
원격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IT) 기업들은 지금을 원격 의료에 대한 대중의 거부감을 없애고 인지도를 높일 절호의 기회로 보고 있다.
주목받는 기업 중 하나가 네이버(035420) 자회사인 ‘라인’과 일본 의사·약사포털 ‘M3’가 공동출자 형식으로 설립한 ‘라인헬스케어’다. 일본 후생성은 라인헬스케어에 무료로 원격의료상담을 진행해 줄 것을 요청했다. 라인을 통해 의사와 상담자가 채팅으로 자신의 건강상태를 설명하고, 코로나19를 비롯한 질병 여부를 진단받는다. 이에 따른 비용은 후생성이 전액 부담한다.
이같은 활동에 힘입어 3월 실시한 일본 전국 15~59세 남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온라인 건강상담 서비스를 알거나 들어본 적이 있느냐’에 대한 질문에 ‘예’라고 답한 응답자는 전체의 34.2%를 기록했다. 라인헬스케어는 당초 3월 말로 끝날 예정이었던 무료 온라인 상담을 한 달 더 연장했다.
중국에서는 코로나19 사태가 진행되는 동안 징동닷컴 산하 징동건강이 무료로 온라인상담을 진행했다. 신리쥔 최고경영자(CEO)는 3월 이코노미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코로나19 사태가 시작된 이래 이 회사 플랫폼을 이용한 진료건수는 한 달만에 10배 증가한 200만건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그는 지금까지 서비스의 주요 이용자는 중년의 만성질환자였지만, 부모와 조부모의 건강을 염려해 조언을 구하고자 하는 젊은 세대와 건강을 중시하는 이들에게 서비스의 매력을 전할 기회라고 강조했다.
중국 전자상거래 기업인 알리바바 산하의 ‘알리건강’은 봉쇄상태에 놓여 있던 후베이성 주민들을 위해 무료 온라인 상담소를 개설하고 5일 동안 약 10만명의 원격의료 상담을 받았다.
◇美, 메디케어 보장 대상 확대 …日 초진도 원격 의료 일시 허용
원격 의료 수요가 급속도로 늘어나자 각국 정부도 규제 완화와 예산 지원 등에 나서고 있다.
미국은 메디케어(Medicare·사회보장세를 20년 이상 납부한 65세 이상 노인 및 장애인에게 연방정부가 의료비 50%를 지원하는 제도)를 통한 원격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5억달러(한화 약 6150억원)를 코로나19 대응예산으로 책정했다. 이전에는 정기적인 진찰 등이 필요한 환자 등에 대해서만 원격의료에 따른 보험 적용이 됐다. 그러나 이번 일시적 보장 확대로 가입자는 진료실과 병원, 요양원, 농촌 건강 클리닉을 포함한 모든 의료 시설과 가정에서 원격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됐다.
일본은 초진에 대해서도 원격 의료를 할 수 있도록 규제를 일시적으로 완화하기로 했다. 일본은 2018년부터 원격 의료에 대해서도 보험을 적용했지만, 3개월 이상 대면진료를 한 환자에게만 허용하는 등 대상을 엄격하게 제한해왔다. 이 때문에 2018년 7월 원격 의료를 도입한 의료기관은 1000개 정도로 전국 의료기관의 1%에 불과했다.
이번에도 후생노동성(우리나라 보건복지부 격)은 원격의료가 제대로 된 진단을 내리기 어렵다는 의사회 등의 반발에 밀려 미온적인 태도를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코로나19 사태로 확진자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원격의료가 허용돼야 외래 의료 수요를 충족하고 의료진들의 감염을 막을 수 있다는 반론에 입장을 전향적으로 바꿨다.
중국 역시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규제 완화 움직임을 가속화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가 절정에 달했던 2월 초 위생부는 원격의료를 충분히 활용해야 한다는 지시를 내렸다. 감염이 가장 심했던 후베이성의 우한이나 장쑤성, 상하이시는 원격 의료에 대한 보험 적용을 인정했다.
지난달 25일부터 21일간 봉쇄에 들어간 인도도 원격 의료 지침을 발표해 왓츠앱, 스카이프, 전화 등을 통해 진단을 받고 처방약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중국 본토와 달리 원격 의료를 금지해왔던 홍콩 역시 원격 의료가 환자 병목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는지를 놓고 시험에 들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