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년 12월에는 대면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연말 보너스 지급이 크게 늘어나면서 명목임금이 1년 전보다 무려 4.1% 상승했다. 1997년 1월 이후 최고 수준을 보였다. 올 1월에는 특별 급여가 줄면서 명목임금 상승률이 0.8%에 그치긴 했지만 최근 임금협상을 보면 임금 상승 압력은 확대되고 있다.
혼다, 소프트뱅크 등 일본 주요 대기업들은 5~7% 수준의 높은 임금 인상안을 발표했다. 일본 전체 노조원의 약 70%가 속한 일본노동조합총연합회가 발표한 개별 노조 요구 임금인상률도 3월 현재 4.4%로 전년의 2.9%를 크게 상회했다. 주요 전망기관 등에 따르면 올해 기본급은 지난해보다 1~1.5%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년 기본급 인상률 0.6%의 두 배 이상 수준이다.
한은은 “일본의 임금상승 압력 확대는 노동 수요 회복, 실질 구매력 보전 요구, 정부 지원 등에 주로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노동수요가 노동공급보다 더 크게 늘어나면서 구인구직 배율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신선식품, 에너지를 중심으로 소비자 물가가 오르자 실질 구매력이 하락하고 있는 점도 명목 임금을 끌어올린다. 1월 실질임금지수는 96.9로 직전 최고 수준이었던 2021년 4월 대비 5.2% 하락했다.
일본 정부가 명목임금 상승을 지원하고 있다는 점도 임금 상승이 지속될 수 있는 근거 중 하나다. 한은은 “일본 정부는 디플레이션 위험에서 벗어나 경제 선순환 구조를 확립하기 위해 물가상승률을 상회하는 임금인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이를 위해 세제지원, 공공분야 급여 인상, 기업경영환경 조성 등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본 정부는 올해 단체 임금협상(춘투)을 물가-임금 선순환 실현을 위한 중요한 기회로 인식해 노사정 회의를 2015년 이후 처음으로 추진하고 있다.
한은은 “명목임금이 적정 수준에서 상승세를 지속하는 것은 일본 경제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일본은행은 명목임금의 꾸준한 상승은 일본의 물가안정 목표 달성과 경제활력 제고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일본 고용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중소기업(제조업 취업자의 64.2%)의 낮은 임금인상 여력이나 일본 기업들의 노동생산성 저하가 전체 임금 인상을 제약할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일본의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작년 10월 전년동월비 3.3%에서 11월, 12월 각각 0.6%, 1.6% 하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