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과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어제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3차 수소경제위원회에 참석해 수소 경제 활성화를 위해 힘을 합치기로 했다. 회의에 앞서 두 총수는 인천시 등과 함께 수소 사업 기반 구축을 위한 양해각서(MOU)도 체결했다. 현대차가 포스코에 이어 SK와 손을 잡으면서 수소 경제에 가장 발빠르게 대응하는 대기업들의 ‘삼각 수소 동맹’ 구축도 현실로 다가왔다.
수소시장은 범세계적인 탄소중립 정책과 맞물려 급성장이 예상되고 있다. 미국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2050년 글로벌 수소시장 규모가 12조 달러(1경4000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현 시장과 비교하면 무려 96배 크기다. 더 고무적인 건 세계 각국이 수소를 미래사회의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보고 경쟁적으로 투자 계획을 쏟아내면서 글로벌 투자기관들의 전망치가 계속 불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골드만삭스에 앞서 영국 투자은행 바클레이스는 1조 달러, 미국 컨설팅사 맥킨지는 2조5000억달러로 2050년 수소 시장 규모를 내다봤으니 외형이 얼마나 더 커질지 정확한 가늠조차 힘들다.
새로운 금맥(金脈)으로 기대되는 시장에서 국내 정상급 대기업들이 실용주의로 기업간 벽을 허물고 새로운 비즈니스를 개척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번 ‘수소 동맹’에 거는 기대는 여느 때와 다르다. 생존과 도약을 위해 과감하게 손잡는 재계 총수들의 모습에서 글로벌 경쟁에서 승리하려는 강한 의지는 물론, 우리 경제의 밝은 미래도 엿보이기 때문이다. 젊고 패기만만한 총수들의 개방적이고, 유연한 사고가 있기에 가능한 일이다.
‘수소 동맹’이 더 큰 동력을 얻기 위해선 수소 활용과 확산을 촉진하기 위한 정부 지원이 절실하다. 지난 2월 ‘수소경제 육성 및 수소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수소경제법)’을 시행하는 등 정부도 수소경제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 과제가 아직 많다. 수소발전소· 상용차 수소충전소 등 수소 인프라 건설 계획이 주민 반대에 부딪혀 표류 중인 게 대표적 예다. 경계를 허문 기업들 협력에 이젠 정부가 답할 차례다. 규제 혁파 등 다각도의 정부 노력이 뒤따라 준다면 수소경제로 ‘제 2의 반도체 신화’를 쓰는 것도 꿈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