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어 “중요한 점은 친환경 에너지 전환 속 ‘그린 커머더티’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이란 점”이라며 “신재생에너지 침투율이 현 29%에서 2050년 88%로 상승한다는 시나리오 아래, 관련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원자재 수요는 견조할 수밖에 없는데, 공급망 병목이 해소되더라도 일부 원자재 가격은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라고 관측했다.
그린 커머더티의 지속적인 상승세는 두 가지로 나타날 것이라고 보았다. 기업 원가 부담이 장기화되거나, 최종 제품에 비용이 전가돼 소비자가 부담하게 되는 것이다. 후자의 경우 최근 물가 상승에 대한 소비자 반응과 비슷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연구원은 “특히 최근의 에너지 가격상승, 높은 기대인플레이션과 낮아진 소비자신뢰지수는 이 같은 마찰적 현상에 대한 소비자들의 반응을 대변한다”며 “미국의 경우 미시간대 소비자신뢰지수는 71.4로 연내 최저치를 기록했고, 경제정책에 대한 부정적 평가는 48%(4월 32%)까지 상승, 바이든 대통령의 지지율은 50%를 하회 중이다”라고 설명했다.
결국 그린 커머더티 상승에 따른 소비자의 물가 상승 부담은 정부가 나서 해결할 확률이 큰 것이다. 실제 이번 독일 총선에서 소비자들의 친환경 부담금 감면 공약이 초당적으로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국제환경기준은 전 지역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데 반해 물가 상승 부담을 덜어줄 능력은 국가별로 달라, 이에 대한 양극화가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원은 “비용부담을 감당할 수 있는 국가와 그렇지 않은 국가 간 양극화가 일어날 수 있다”며 “친환경 투자 시, 국제환경기준이라는 제약 속 각국 에너지 정책의 양극화 가능성과 친환경 비용부담 해소 노력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이유다”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