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연휴 부산항 일제조사 완료.."살인개미 없다"

최훈길 기자I 2017.10.06 08:22:57

검역본부, 감만부두 87개 섹터 조사 결과
전국 34개 항만도 독개미 추가 발견 없어
DNA 검사 등 독개미 유입경로는 조사 중
김영록 장관 "지속적인 예찰과 관리 중요"

농림축산검역본부 직원들이 추석 연휴인 5일 오후 부산 남구 감만부두 컨테이너 야적장에서 외래 붉은 불개미의 확산을 막기 위해 덫(예찰트랩)을 설치하고 조사에 나섰다.[사진=연합뉴스]
[세종=이데일리 최훈길 기자] 부산항 일제조사를 실시한 결과 ‘살인 개미’로 알려진 독개미(외래 붉은 불개미)가 추가로 발견되지 않았다. 추석연휴에도 꾸준히 방역·방제 조치에 나서면서 독개미 사태가 일단락된 것으로 풀이된다.

6일 농림축산검역본부, 부산항만공사에 따르면 5일까지 부산항 감만부두 87개 섹터에 대한 일제조사를 마무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감만부두에 설치된 163개 독개미 덫(예찰 트랩)에도 독개미는 발견되지 않았다.

검역본부 관계자는 통화에서 “일제조사를 완료한 결과 독개미가 추가로 발견되지 않는 등 이상이 없었다”며 “9일 하루 동안 감만부두에 인력을 투입해 다시 점검한 뒤 독개미가 없으면 항만소독 조치 등은 이날 해제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애초 12일까지 일제조사를 실시하려고 계획했으나 추석연휴에도 쉬지 않고 조치에 나서면서 조사완료 시점이 앞당겨졌다.

앞서 독개미는 지난달 28일 부산항 감만부두 컨테이너가 놓인 아스팔트 틈새에서 처음으로 발견됐다. 이어 검역본부는 다음 날인 29일 독개미 1000여 마리가 있는 개미집을 찾았다. 이어 지난 3일 독개미 발견 지점에서 길이 45m, 폭 1m, 깊이 60~65cm 가량 굴착 작업에 나섰지만 독개미는 추가로 발견되지 않았다.

이에 정부는 다른 지점이나 지역에 이미 유입됐을 가능성에 대비해 방제·조사 범위를 확대하기로 했다. 지난 3일부터는 인천항 등 전국 34개 항만 및 컨테이너 기지에 예찰 트랩을 설치하는 등 추가조사에 나섰다. 지난 3일 홍남기 국무조정실장 주재로 열린 차관회의 이후 내륙 컨테이너 기지(경기도 의왕, 경남 양산)도 추가로 조사 중이다.

다만 독개미 유입경로, 여왕 독개미 생존 여부는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독개미 DNA 검사, 컨테이너 역추적 조사까지 감안하면 추석연휴 이후에도 유입경로 등에 대한 조사가 진행될 전망이다. 일각에선 여왕 독개미가 방역·방제 조치로 이미 박멸됐다는 관측을 제기하지만 현재까지 사체는 발견되지 않은 상황이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황주홍 국민의당 의원은 “대한민국이 전 세계 각 지역의 화물이 드나드는 세계적인 무역국임을 감안하면 붉은 독개미와 같은 유사한 해충이 언제든지 유입될 수 있다”며 “부산항뿐만 아니라 여수·인천 등 전 항만으로 독개미 방역을 확대해야 한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관련 당국이 근원적인 해결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영록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지난 5일 인천항 제 4부두의 외래 붉은 불개미 조사 현장을 찾아 “외래 붉은 불개미 유입 차단을 위해 지속적인 예찰과 관리가 중요하다”며 “국민이 불안해하지 않도록 진행 상황 정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알려 드리는 것도 중요하다”고 밝혔다.

우예종 부산항만공사 사장은 “광범위한 조사를 지원해 근원적인 해결 방안이 마련되도록 적극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항만공사는 24시간 비상대책반을 구성해 추석연휴에도 방역·방제 지원을 해오고 있다.

7일에는 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이 부산항을 찾아 현장을 점검하고 휴일 중에 근무하는 작업자들을 격려한다.

농림축산검역본부는 독개미를 발견하였을 경우 농림축산검역본부로 신속히 신고(054-912-0612)해달라는 안내문을 배포했다. 검역본부 관계자는 “독개미에 쏘인 경험이 없어도 벌 독 알레르기를 가진 사람은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며 “쏘이게 될 경우에는 안정을 취하고 급격히 신체에 변화가 생기는 경우에는 즉시 병원에 가야 한다”고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독개미=
지난 달 국내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외래 붉은 불개미(Red imported fire ant)는 몸 속에 강한 독성 물질을 가지고 있다. 날카로운 침에 찔리면 심한 통증과 가려움증을 동반하게 된다. 심하면 현기증과 호흡곤란 등의 과민성 쇼크 증상을 유발한다. 북미에서는 한 해 평균 8만명 이상 독개미에 쏘이고 100여명이 사망해 ‘살인 개미’로도 불린다. 세계자연보호연맹(IUCN)은 세계 100대 악성 침입 외래종으로 이를 지정했다.

※독개미 예방·치료법=개미에 물려 피해를 보지 않으려면 성묘·등산 등 야외활동 시 긴 옷을 입고 장갑을 착용하는 게 필요하다. 바지를 양말이나 신발 속에 집어넣고 곤충기피제(DEET 등 포함)를 옷이나 신발에 사용하면 도움이 된다.

만약 개미에 물리거나 벌에 쏘인 후 이상 증상이 생긴 경우에는 즉시 병원 응급진료를 받아야 한다. 추석연휴에 문을 연 의료기관은 보건복지콜센터(국번 없이 129) 및 119 구급상황 관리센터(국번 없이 119)에 전화를 걸면 안내해준다. 독개미를 발견하면 농림축산검역본부로 신속히 신고(054-912-0612)하면 된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