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박수연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BOJ는 정책 ‘정상화’ 시점을 내년 춘투를 보고 판단할 것”이라며 “BOJ 정상화도, 엔화 매수 시점도 4월 이후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BOJ는 12월 금융정책위원회에서 만장일치로 기존 정책(단기 -0.1%, 10년물 상단 1.0%)을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성명문에서 BOJ는 대내 경제가 완만하게(moderately) 성장할 것으로 기대했고 주거용 투자가 약하기는 하나, 임금-소비 간 상관관계가 강해지면서 잠재성장률 이상의 성장을 이어나갈 것으로 기대했다.
정책 변화가 없다는 성명문을 확인한 후, 달러·엔 환율은 144엔까지 상승(엔화 절하), 일본 10년물 금리는 0.64% 미만까지 하락했다.
박 연구원은 “단기적인 경제상황은 정상화를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다”라며 “정상화라는 말이 긴축으로의 전환을 의미한다면 더욱 그렇다”고 말했다. 금리 인상은 일반적으로 경기 과열을 완화하고자 할 때 펼친다. 금리라는 제반 매크로비용이 상승함으로써 경기 확장세가 둔화했기 때문이다.
박 연구원은 “지금 일본은 BOJ가 완화적(moderately)이라 표현했다시피 경기도, 물가도 크게 강하지 않다”면서 “일본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3분기 -0.5%로 역성장 전환했으며 단기적인 시계에서 경기만 놓고 보았을 때 정상화 유인이 잘 보이지 않는 이유”라고 말했다.
그럼에도 BOJ는 12월 들어 정상화 기대감을 높이는 상황이다. 박 연구원은 “△비전통적 통화정책을 오랫동안 펼치고 있는 데 대한 부담이 이어지고 있고 △비전통적 통화정책 효과에 대한 의문도 확대 중”이라고 지적했다.
박 연구원은 “1차 판단 기준은 내년 춘투가 될 것”이라며 “춘투는 일본 재계와 노동계의 임금 협상으로 올해 임금인상률은 3.58%로 30년만에 처음 3%를 웃돌았다”고 분석했다. 만일 내년 춘투에서 올해 수준의 임금 상승률이 결정되면 BOJ가 4월에 정상화를 단행하기 용이해진다.
그러나 박 연구원은 “여전히 고려할 점은 BOJ에 대한 신뢰도가 낮다는 것”이라며 “당장 정상화가 시급하지 않으니 BOJ는 4월 이후로 정상화를 미룰 유인이 충분하며 따라서 엔화 또한 선제적으로 매수하기 보다는 BOJ가 실제로 정상화를 단행하는지 확인한 후 매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보다 단기적인 엔화 매수의 경우, 달러가 결정할 것이며 다른 아시아 통화들이 일제히 2022년 역사적 고점까지 절하되었던 것과 달리 원화는 통화가치가 일정 수준
방어됐다”며 “바꿔 말하면 엔화를 비롯한 여타 통화가 충분히 절하된 만큼 앞으로의 절상 폭 또한 더 클 것으로 보인다”고 판단했다.
박 연구원은 “따라서 약달러가 전개될 때, 엔·원 환율 상승을 전망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