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K-mRNA 컨소시엄은 당초 올해 상반기 안으로 mRNA 백신 ‘STP2104’에 대한 국내 긴급사용승인을 신청하기로 했지만 아직 임상1상에 머물러 있다. 컨소시엄은 에스티팜과 한미약품, GC녹십자 3사와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KIMco)으로 구성돼 있다. 이 중 에스티팜이 임상을 주도한다. 에스티팜은 오미크론과 이후 변이를 타겟으로 하는 후보물질 ‘STP2150’에 대해서도 임상 진입 여부를 검토 중이며, 현재 동물실험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개발이 이미 난항을 겪고 있다는 말이 나온다. LNP(지질나노입자)기술에 걸린 수많은 특허를 피해가기가 쉽지 않아서다. LNP기술은 mRNA 백신의 핵심 기술로, 세포 안까지 들어가는 효율이 낮은 mRNA 백신 물질을 목표 위치까지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이미 컨소시엄 실무진들 사이에서는 개발을 이어가기가 어렵다는 말이 나올 정도”라며 “특히 너무 방대하게 걸린 특허문제가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실제로 LNP 기술은 특허망이 촘촘해 이를 뚫고 개발을 이어나가기가 힘들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에스티팜도 예외는 아니다.
mRNA 백신을 개발 중인 한 바이오 기업 대표는 “mRNA를 감싸는 LNP를 만들기 위해서는 ‘이온화지질’이라는 원천 재료가 있어야 한다. 이온화지질에 대한 특허는 화이자와 코로나19 백신을 함께 개발한 바이오앤텍이라는 회사가 가지고 있는데, 이 특허가 너무 촘촘하고 방대해서 피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mRNA 백신 개발 핵심 요소는 크게 mRNA 분자 구조 기술, mRNA 약물전달체 기술, mRNA 생산 기술로 나뉜다. 에스티팜은 여기서 분자 구조 기술 분야에 해당하는 5프라임-캡핑 기술인 ‘스마트캡’을 독자 기술로 갖고 있다. 약물전달체 기술은 스위스 바이오 기업 제네반트 사이언스로부터 1500억원 가량에 도입했다. 여기서 약물전달체를 이루는 재료, 즉 이원화지질을 만드는 과정에서 대부분 기업이 특허의 벽을 넘지 못하고 무너지는 것이다.
또 다른 mRNA 플랫폼 개발 바이오 기업 기술 대표는 “많이 알아봤지만 LNP 쪽 특허는 시작부터 손을 못 댔다”며 “한두 회사에게 로열티를 주는 것으로 끝나는 게 아니다. 결국 LNP가 아닌 다른 기술을 사용해 mRNA 플랫폼을 개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9월 특허청이 발간한 ‘mRNA 백신 특허분석 보고서’를 보면 전 세계적으로 mRNA 백신 관련 특허출원 수는 총 691건이다. 모더나가 211건으로 가장 많고, 이어 큐어백 108건, 트랜스레이트바이오(TranslateBio) 67건, 화이자·바이오앤텍 60건, GSK 25건 순이다.
심지어 mRNA 백신 제조를 위한 핵심 특허는 모더나와 화이자도 갖고 있지 않다. 이들 기업도 LNP 기술을 사용할 때 기술사용료를 내야 한다.
관련 특허 소송도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지난 3월 미국 바이오 기업 앨나일람 파마슈티컬스는 화이자와 모더나가 자사의 LNP 관련 기술을 사용했다며 법원에 소장을 제출했다. 지난 2020년 7월에는 모더나가 미국 아뷰투스 파이오파마를 상대로 LNP 특허 기술과 관련한 특허 무효 소송을 냈으나 패소했다. 이로 인해 모더나는 해당 LNP 기술을 사용할 때 상대 회사에 막대한 비용을 내야 하는 처지에 몰려있다.
다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mRNA 플랫폼에 대한 투자가 이어져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서동철 의약품정책연구소장은 “당장의 결과가 나오기는 쉽지 않다. 어차피 바이오 분야는 단번에 투자해서 뭐가 나오는 게 아니라 계속해서 투자하다 보면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는 식이다”라며 “올해 안에 뭘 내놓는다기 보다는 장기적 관점에서 투자하는 목적으로 보면 좋을 것이다. mRNA가 새로운 기전인 만큼 연구하다 보면 올해는 아니더라도 내년 또는 그 이후에는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