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감정원의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서울의 중대형 상가 평균 공실률은 8%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해 1~3분기까지 7.5% 수준을 유지해오다 4분기 들어 0.5%포인트가 상승한 수치다.
공실률이 가장 높은 곳은 이태원이다. 이태원은 작년 4분기 평균 공실률 26.4%로 1위에 올랐다. 이태원 상가 4곳 중 1곳은 비어 있는 셈이다. 감정원 관계자는 “이태원은 미군기지 이전으로 외국인 수요와 유동인구가 감소해 지난 한 해 공실이 계속 나타나고 있다”면서 “경리단길 상권의 시세가 높게 형성돼 있어 수익률도 좋지 않은 편”이라고 말했다.
이어 공실률 10%대를 기록한 상위권은 사당(16.7%), 테헤란로(14.1%), 화곡(13.8%), 혜화(13.7%), 신촌(11.6%), 용산(11.4%), 신사(11.3%), 시청(10.9%), 논현역(10.2%), 잠실(10.1%) 순으로 나타났다.
감정원 관계자는 “유동인구 많은 사당, 화곡 상권 등에서 매출 감소 영향으로 공실이 증가해 서울 전반에 걸쳐 공실률이 늘어났다”면서 “최근 소비심리지수와 기업경기실사지수가 둔화하고 있어 상가 시장도 지속적인 경기둔화가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
특히 동대문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 전망과 함께 한한령(限韓令·한류제한령)이 풀리면 상권이 다시 기지개를 킬 것으로 기대됐던 지역이라 코로나 여파가 더욱 뼈아프다. 동대문의 공실률은 지난해 1분기 10.6%에서 4분기 7.3%까지 내려가며 서울 평균(8%)보다 낮은 공실률을 기록, 상권이 점차 회복세를 보여왔다.
권강수 상가의신 대표는 “의류시장이 활성화 돼 있는 동대문은 중국관광객이 주를 이루고 있는 상황인데, 지금 코로나로 비상에 걸린 상황”이라면서 “점포가 쇼핑몰 안에 있다보니 통계로는 바로 나타나긴 어려우나 실질적으로 공실은 상당히 늘어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러한 상황이라면 올해 서울 공실률이 10%대까지 오를 수도 있지 않겠냐”고 우려했다.
한편 지난해 전국 중대형상가 공실률은 11.7%를 기록했다. 공실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17.7%인 경북이다. 이어 울산(17%), 전북(16.9%), 세종(16.2%) 등이 전국 평균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공실률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