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조 재난지원금 풀린다…홍남기 “1월1일 집행"

최훈길 기자I 2020.12.02 06:00:00

2일 국회, 3차 지원금 포함한 내년 예산안 처리
선별지원 2차 지원금의 시즌2 성격, 신속 집행
소득 증가 고소득층 제외해 피해계층 맞춤 지원
1000조 나랏빚 우려 “포퓰리즘 퍼주기 경계해야”

[세종=이데일리 최훈길 기자] 여야가 3차 긴급재난지원금을 선별지원 방식으로 하기로 한 것은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로 벼랑 끝에 몰린 자영업자 등에 맞춤형 지원이 시급하다는 판단에서다. 이재명 경기도지사 등이 주장한 전 국민 재난지원금 대신 선별 지원으로 방향을 정하면서 야당 반발을 최소화하는 한편 나랏빚을 우려한 재정당국도 손쉽게 합의를 이룰 수 있었다. 다만 3차 재난지원금이 4, 5차로 이어지는 등 선거를 앞두고 현금 살포로 변질될 가능성을 경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3차 지원금, 피해가구당 200만원 안팎 지원할듯

문재인 대통령, 정세균 국무총리,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모습. 연합뉴스 제공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은 1일 코로나19 확산으로 피해를 입은 업종과 계층을 지원하기 위한 3조원 규모의 3차 재난지원금을 합의했다. 여야는 2일 본회의에서 3차 재난지원금을 포함한 내년도 예산안을 처리하고, 이르면 내달부터 재난지원금을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일 페이스북에 “코로나19 확산세가 다시 거세지면서 향후 경기여건이 녹록지 않은 것도 사실”이라며 “(2일) 본회의에서 차질 없이 확정되도록 막바지 힘을 쏟겠다. 내년 1월1일부터 예산이 즉시 집행될 수 있도록 지금의 예산집행 준비 작업에도 더 속도내겠다”고 밝혔다.

3차 재난지원금은 선별적 지원을 했던 2차 재난지원금 방식과 비슷하게 지원된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여당 간사인 박홍근 민주당 의원은 기자들과 만나 “맞춤형 피해지원금을 내년도 예산안에 포함하기로 했다”며 “정부가 구체적인 지원 방식을 검토하는데, 4차 추가경정예산(추경) 대상이 지원받는 방향으로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국회는 지난 9월22일 선별지원 방식의 2차 재난지원금을 반영한 4차 추경을 처리했다. 당시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차 재난지원금 기본방향을 △피해계층 대상 △직접적·실질적 지원 △맞춤형 제공 방식으로 설정했다. 기재부가 당시 9월11일 선별지원 방식의 추경안을 제출한 뒤 국회는 11일 만에 이를 처리했다.

당시 지원금에는 △소상공인 새희망자금, 폐업점포 재도전 장려금 등 소상공인 경영안정·재기지원(3조4000억원) 등이 포함됐다. PC방, 학원, 독서실, 실내체육시설 등 집합금지업종은 가구당 200만원 씩 받았다. 전 국민에게 가구당 100만원 씩 지급하는 방식보다 더 두텁게 피해 업종·계층에 지원을 했다.

이번 3차 재난지원금이 3조원 규모여서, 이번에도 자영업 가구당 200만원 안팎의 지원이 이뤄질 전망이다.

최근 코로나19 피해가 저소득층 취약 계층에 집중된 점도 선별지원 필요성을 뒷받침했다. 통계청의 올해 3분기(7~9월)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63만7000원으로 작년 3분기보다 1.1% 줄었다. 반면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039만7000원으로 2.9% 증가했다. 코로나19 상황에서 고소득층 소득은 늘어나는데 저소득층은 직격탄을 맞은 것이다.

[그래픽=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이대로 가면 2022년 나랏빚 1070조

코로나19 장기화 상황에서 재정 부담을 최소화하는 것도 선별지원 결정에 영향을 끼쳤다. 국회 예결위 야당 간사인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은 “재원을 어떻게 찾을지 고민이 많았다”고 말했다. 박홍근 의원은 “(내년도 예산안에 담지 않고 감액 없이) 별도로 추경을 하게 되면 훨씬 많은 규모로 국채를 발행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3차 지원금을 제외한 내년 예산안만 놓고 봐도 국채 발행 규모는 올해 60조3000억원에서 내년에 역대최대 규모인 89조7000억원으로 늘어난다. 기재부의 ‘2020~2024년 국가재정운용계획’에 따르면 이대로 가면 국가채무는 올해 846조9000억원(GDP 대비 43.9%), 내년 945조원(46.7%), 문재인정부 마지막 해인 2022년 국가채무는 1070조3000억원(50.9%)으로 증가한다.

이는 문재인정부가 출범한 2017년(660조2000억원)보다 5년 새 410조원 넘게 급증하는 것이다. 이같은 국가채무 전망은 재난지원금 지급을 제외한 규모로, 재난지원금을 추가로 지급할수록 미래세대가 떠안게 될 국가채무는 더 커질 수밖에 없다. 이런 상황에서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전 국민 재난지원금 제안을 재정당국이 받아들이기는 힘들다.

특히 전문가들은 방역을 우선해야 하는 시점에서 섣불리 전 국민 지원금을 살포하는 것은 부작용이 더 클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부는 코로나 방역 상황을 고려해 소비쿠폰 지급도 중단한 상태다.

홍기용 인천대 경영학부 교수는 “수출·기업 등 전반적인 국가 경쟁력을 키울 생각 없이 전 국민 재난지원금을 수십조원 뿌리면 경제가 살아나지 않는다”며 “선거를 앞두고 현금살포형 포퓰리즘이 고개를 들지 못하게 경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통계청의 올해 3분기(7~9월)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63만7000원으로 작년 3분기보다 1.1% 줄었다. 반면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039만7000원으로 2.9% 증가했다. 코로나19로 저소득층이 직격탄을 맞은 것이다. [자료=통계청]
국가채무는 문재인정부가 출범한 2017년 660조2000억원에서 집권 마지막 해인 2022년에 1070조3000억원으로 5년새 410조1000억원 증가할 전망이다. 2020년은 4차 추경 기준, 2021~2024년은 2020~2024년 국가재정운용계획 기준, 괄호안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 단위=조원, % [자료=기획재정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