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길 먼 K의료로봇]“의료수가 인정, 전 주기 지원 실현돼야”

왕해나 기자I 2021.02.08 05:00:03

의료보험체계 신의료기기 적용 장려
제품 개발부터 수출까지 전방위적 지원
의료 현장 실사용 지원 무엇보다 중요

[이데일리 왕해나 기자] 의료로봇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 지 10여년이 지난 지금 국내에서도 성과를 내는 업체들이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의료로봇 업계는 국내 의료로봇 산업의 성장을 위해서는 보다 전폭적인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의료수가 인정으로 현장에서 국산 로봇이 채택될 수 있도록 간접 지원할뿐만 아니라 개발부터 상품화, 해외 진출까지 단계별 제도적 토대가 만들어져야 한다는 의견이다.

권동수 대한의료로봇학회 이사장(왼쪽)과 문전일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원장.(사진=대한의료로봇학회,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업계가 공통적으로 지적하는 부분은 의료수가 인정이다. 우리나라에서 의료로봇 이용은 아직 보험적용 대상이 아니다. 권동수 대한의료로봇학회 이사장은 “금융당국은 사람이 수술을 하면 되지 왜 로봇을 쓰냐고 하면서 의료 수가를 인정해주지 않으려고 한다”면서 “해외의 경우에는 의료로봇 수술을 보험회사에 맡겨 로봇 사용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등 보험 혜택을 볼 수 있도록 돼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대부분 감기, 마사지 환자에 들어가는 의료보험 비용을 정말 필요한 곳에 써야한다”면서 “우리나라 의료보험체계의 신의료기기 적용을 장려해야 신기술이 나오고 의료로봇 산업도 발전한다”고 강조했다.

문전일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원장도 “현재는 재활로봇 의료수가가 재활보조사가 수작업으로 하는 수준인 시간당 1만5000원 정도로 책정돼 있는데 재활로봇이 한 대에 3~5억원을 하는 것을 감안할 때 현장에서 채택되기는 매우 어렵다”고 토로했다. 이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로봇을 써서 재활효과가 있다는 입증 근거가 부족하다고 하고 로봇을 사용하는 게 신의료기술이냐고도 묻는다”면서 “의료로봇에 대한 수가화를 지원해주면 판로가 열리고 시장이 클 수 있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국산 의료로봇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제품 개발부터 시장 진출, 현장에서 사용경험을 쌓는데까지 규모 있는 정부 계획과 업계 노력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문 원장은 “국산 로봇은 준비돼 있는데 병원에서 마케팅을 위해 외산 의료로봇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면서 “업계는 (외산과 차별화를 위해)처음부터 고가의 완성품을 내놓을 것이 아니라 1000만~2000만원대부터 병원에서 일단 쓰도록 하면서 신뢰성을 쌓아야한다”고 말했다. 또 “진흥원이 매년 로봇업체와 병원을 연결해주는 실증사업을 하고 있지만 그 규모가 크지는 않다”면서 “보건복지부 등이 나서 국산 로봇들이 현장에서 신뢰성을 쌓고 해외로 나갈 수 있도록 키워주는 부분을 담당해야 한다”고도 했다.

업체들 역시 정부의 현장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에 뜻을 같이했다. 고영테크놀러지 관계자는 “의료로봇은 장기간 투자하고 개발해야 하는데 수익성은 불분명한 어려운 사업”이라면서 “다른 사업이 튼튼하면 연구개발에도 신경쓰고 버틸 수 있지만 대부분의 국내 업체들이 대기업이 아니다 보니 그렇지 못하다”고 했다. 이어 “한시라도 빨리 의료 현장에 의료로봇을 투입하고 공급해 산업을 활성화해야 하는데, 국가가 지원해 주는 선순환 생태계 구축이 절실하다”면서 “현재도 나라에서 지원을 하고 있지만 보다 국가가 주도적으로 광범위하게 지속적으로 지원해야 결실을 맺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