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전일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원장도 “현재는 재활로봇 의료수가가 재활보조사가 수작업으로 하는 수준인 시간당 1만5000원 정도로 책정돼 있는데 재활로봇이 한 대에 3~5억원을 하는 것을 감안할 때 현장에서 채택되기는 매우 어렵다”고 토로했다. 이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로봇을 써서 재활효과가 있다는 입증 근거가 부족하다고 하고 로봇을 사용하는 게 신의료기술이냐고도 묻는다”면서 “의료로봇에 대한 수가화를 지원해주면 판로가 열리고 시장이 클 수 있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국산 의료로봇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제품 개발부터 시장 진출, 현장에서 사용경험을 쌓는데까지 규모 있는 정부 계획과 업계 노력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문 원장은 “국산 로봇은 준비돼 있는데 병원에서 마케팅을 위해 외산 의료로봇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면서 “업계는 (외산과 차별화를 위해)처음부터 고가의 완성품을 내놓을 것이 아니라 1000만~2000만원대부터 병원에서 일단 쓰도록 하면서 신뢰성을 쌓아야한다”고 말했다. 또 “진흥원이 매년 로봇업체와 병원을 연결해주는 실증사업을 하고 있지만 그 규모가 크지는 않다”면서 “보건복지부 등이 나서 국산 로봇들이 현장에서 신뢰성을 쌓고 해외로 나갈 수 있도록 키워주는 부분을 담당해야 한다”고도 했다.
업체들 역시 정부의 현장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에 뜻을 같이했다. 고영테크놀러지 관계자는 “의료로봇은 장기간 투자하고 개발해야 하는데 수익성은 불분명한 어려운 사업”이라면서 “다른 사업이 튼튼하면 연구개발에도 신경쓰고 버틸 수 있지만 대부분의 국내 업체들이 대기업이 아니다 보니 그렇지 못하다”고 했다. 이어 “한시라도 빨리 의료 현장에 의료로봇을 투입하고 공급해 산업을 활성화해야 하는데, 국가가 지원해 주는 선순환 생태계 구축이 절실하다”면서 “현재도 나라에서 지원을 하고 있지만 보다 국가가 주도적으로 광범위하게 지속적으로 지원해야 결실을 맺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