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3일 펑파이신문은 초등학교도 졸업하지 못한 20대 청년이 배달 기사로 일하며 3년 만에 102만위안(약 1억9000만원)을 벌었다고 보도했다.
올해 26살인 천쓰 씨는 80만 위안(약 1억5000만원)을 빌려 고향인 장시성 푸저우에 음식점을 차렸으나 5개월 만에 큰 손해을 보고 문을 닫았다. 그러나 그는 좌절하지 않고 상하이로 가 배달 기사로 나섰고, 고생 끝에 ‘배달의 왕’으로 불리며 빚을 모두 갚았다. 또 고향에서 집을 장만하느라 받았던 대출금도 대부분 갚아 10만 위안(약 1천860만원)만 남는 등 재기에 성공했다.
천스 씨는 “큰 도시로 가면 분명 기회가 더 많을 것이라고 생각해 2019년 상하이로 갔다”며 “식당 주방에서 일하며 1만3000위안(약 242만원)의 월급을 받았지만 배달 기사가 더 많이 버는 것을 보고 1년 만에 배달 일에 뛰어들었다”고 말했다.
이어 “하루 3시간 만 자고 남은 시간은 오직 배달에만 매달려 하루 180∼200건을 처리했다”며 “그게 가능하냐며 의심하는 사람도 많지만 상관없다. 어쨌든 나는 해냈다”고 덧붙였다.
하이바오신문도 18살 때부터 미장 일을 배운 뒤 건설 현장에서 막노동 일을 해 7년 만에 빚을 갚고 집까지 장만한 30대 셰언쑹 씨의 사연을 소개했다. 구파이신문도 올해 21살인 자오모 씨가 가업인 폐품 수집상을 이어받아 한 해 20여만 위안(약 4000만원)을 벌며 평범한 직장인보다 더 나은 생활을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다만 이같은 언론 보도에는 다른 의도가 있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최악의 취업난에도 당국이 제대로 된 고용 대책을 내놓지 못하는 상황에서 청년층의 ‘링훠취업(靈活就業·정규직이 아닌 자유직 종사)’을 유도하려는 것 아니냐는 이야기다.
실제 상하이의 명문 푸단대가 지난 9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이 대학 학부 졸업생 3226명 가운데 취업자는 583명으로 18.1%를 차지했다. 이는 최근 5년 만의 최저 수준이다. 2019년 2019년 19.5%였던 푸탄대 졸업생 실제 취업률은 2020년 23.1%, 2021년 25%, 2022년 21.4%로 4년 연속 20%대에 머물렀다.
더딘 경제 회복과 중국인 자산의 80%를 차지하는 부동산 장기 침체의 영향으로 작년 6월 중국의 청년 실업률은 21.3%를 기록,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당국은 이후 청년 실업률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