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3일(현지시간) G7 정상들은 영국 콘월에서 정상회담을 마치고 공동 선언문을 통해 “세계 경제와 공정성과 투명성을 해칠 관행과 시장을 왜곡하는 정책에 대해 G7차원에서 공동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중국의 일대일로 맞선 G7 차원의 인프라 투자 계획도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G7의 글로벌 인프라 펀드인 “Build Back Better World(B3W) 프로젝트가 ‘일대일로’보다 공정할 것”이라고 밝힌 것이다.
지난 10일 미국 백악관은 ‘미국 공급망 검토 결과 보고서’를 발표하면서 미국 중심의 신 공급망 구축 의지를 본격화했다. 미국 의회 역시 중국과의 경쟁이 치열한 중점 산업 기술 개발과 생산을 지원하는 법안을 마련하는 등 미국의 대중국 압박은 시간이 갈수록 강도를 높여가고 있는 것이다.
박상현 연구원은 “트럼프 대통령 당시 미국의 대중 압박이 수입 관세 인상 등의 경제적 관계에 집중됐다면 바이든 대통령의 경우 서방국가와의 공조 강화를 통한 경제 및 외교 등 전방위 압박인 동시에 새로운 산업 패러다임 전환에 맞춘 신 공급망 구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에서 중국 경제 및 시진핑 국가 주석이 받는 압박은 더욱 클 수 있다”고 짚었다.
미·중 갈등 전개는 예단하기 이른 상황이라는 게 중론이다. 박 연구원은 “연말까지 중국이 1차 무역합의를 얼마나 성실히 이행할 지 여부가 변수로 남아 있다”며 “하반기 테이퍼링 이슈와 함께 미·중 관계는 예의 주시해야 할 이슈”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