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에 기록한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컨센서스 대비 각각 0.9%, 3.1% 웃도는 규모다. 조정 EPS(주당 순이익) 역시 전년 동기 대비 113.1% 증가한 4.71달러를 기록했다. 일일 유저 데이터(DAP)는 평균 32억4000만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7% 증가했다.
그러나 이 같은 실적 개선세에도 메타 주가는 급락했다. 지난 26일 메타 주가는 전 거래일보다 10.56% 하락한 441.38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이는 2022년 10월 이후 최대 하락 폭이다. 장중 한때는 16% 하락한 414.50달러를 기록하기도 했다.
증권가에선 이번 주가 하락의 원인으로 이날 메타가 추정한 올 2분기 매출액이 예상 수준을 큰 폭으로 밑돈 점뿐만 아니라 AI 투자의 수익 실현에 대한 시장의 의구심이 커졌다는 점을 꼽았다.
김승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올 2분기 가이던스 중간값이 예상 수준(383억달러)을 밑도는 377억5000만달러를 기록한 것도 악재로 작용했겠지만, 하락의 주된 원인은 AI의 지속 투자가 수익성으로 연결될 것인지에 대한 시장의 의문”이라고 했다.
메타는 이번 실적 발표에서 자본적 지출(CAPEX) 범위가 연초 발표한 300억~370억달러보다 커진 350억~400억달러가 되리라고 내다봤다. 앞서 마크 주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도 AI 중심의 성장 전략은 많은 수익을 창출하기 전 의미 있는 비용이 든다고 언급한 바 있다.
김 연구원은 “증강현실(AR)·가상현실(VR) 중심 사업부 리얼리티 랩스(Reality Labs)에서 38억4600만달러의 영업손실을 기록한 것이 이미 확인됐고, 언어 모델 라마(Llama) 고도화·메타버스 구축 등 AI에 대한 꿈이 계속해서 큰 비용을 청구할 것이란 평가가 유입됐다”고 말했다.
이처럼 메타가 특정 사업부에서 영업손실을 기록하면서까지 자본적 지출을 늘리는 이유는 기술 개발 속도의 특징에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기술 개발의 속도는 특성상 선형적 상승이 아닌 기하급수적 성장 흐름을 보여서다.
김 연구원은 “한 번 성장 추세를 놓치면 경쟁사들과의 격차는 순식간에 벌어지지만, 얼마만큼 자본이 투자돼야 하는지도 예상하기 어렵다”며 “이에 빅테크들은 가용 범위 최대 범주 내에서 자본적 지출을 높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김 연구원은 메타가 지난 18일 라마3 LLM 모델을 공개한 점에 주목했다. 70B 모델 성능은 GPT-4, 구글 제이나이 프로 1.5 등과 비슷한 완성도를 보였는데, 라마3는 무료 모델로 오픈소스 코드가 같이 공개돼 다른 모델 대비 시장 지배력이 높을 수 있다는 게 그의 평가다.
김 연구원은 “조금의 상대적 우위를 점하면 그 이후의 격차는 벌어질 수 있다”며 “메타의 자본적 지출 투자 증가를 통한 점유율 확대 시도를 이해할 수 있고, 20배 PER(주가수익비율) 부근까지 내려온 주가는 밸류 부담을 덜어 메타의 소소한 증명이 이어지면 재차 반등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