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곡 공동주택 6개 단지 5348세대에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전력량계를 연동했으며, 459세대가 수요반응 서비스에 참여 중이다.
서비스에 가입한 세대는 모바일앱을 통해 전기·수도·가스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월별·일별·시간대별 사용량을 상세하게 조회·비교할 수 있다.
시에 따르면 10만 세대가 수요 반응 서비스에 참여하면 5000kW 규모의 전력 예비력 확보 및 연간 30만kWh의 전력 감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는 약 1400가구가 한달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양이다. 올해 상반기 한국전력통계에 따르면 서울시 가구당 평균 전력사용량 221kWh이다.
실제 마곡 엠밸리에서 수요 반응 서비스에 참여하는 A씨는 “처음엔 재미있어 보여 가벼운 마음으로 참여했지만, 고유가로 인해 전력난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미션을 성공할수록 에너지 절약에 기여하고 있다는 생각에 뿌듯하다”고 답했다.
올해 서비스 이용 세대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참여 세대의 70%가 주 3회 이상 수요반응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 중 86%가 에너지절감을 체감한다고 대답했다.
한편, 서울시는 2015년부터 신청사, 서울시립미술관, 아리수정수센터, 물재생센터 등 시 공공건물과 시설에 수요반응 서비스를 적용하는 서울시 가상발전소를 운영 중이다. 전력 절정기 시간대 전력수요를 줄여 절약한 전기를 판매하고 수익금을 얻고 있다.
이인근 서울시 환경기획관은 “서울시는 고유가 시대 지속과 전력난에 대비해 에너지 생산 측면에서는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소규모 발전설비를 늘리고, 수요관리 측면에서는 수요 반응서비스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