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오염수 방류 결정을 하루 앞둔 지난 21일, 대전 한국원자력안전방재연구소에서 만난 한병섭 한국원자력안전방재연구소 이사 겸 원자력안전연구소장은 방류가 추진되면서 다핵종제거설비(ALPS)가 제대로 이뤄지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나, 근원적인 대책도 필요하다고 했다.
이를테면 일본정부와 공조해 사고 직후부터 현재까지 후쿠시마 원전 일대의 동토차수벽(얼음벽)에서 오염수가 새는 부분에 대한 정확한 평가 같은 게 필요하다는 것이다.
|
원자력공학을 전공한 한 소장은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전력기술에서 근무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시민 단체 등에게 과학적인 원자력 안전 관련 조언을 해주는 역할을 해왔다. 그는 지난 2015년 미래창조과학부(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승인받은 산업기술연구조합인 한국원자력안전방재연구소에서도 활동하고 있다.
한 소장은 IAEA의 관리감독 하에 일본 정부가 투명하게 정보를 공개하면서 오염수 정화를 해나간다면 일본정부 주장처럼 오염수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개인적으로는) 일본 정부를 믿기 어렵다”면서도 “공학자로서 보면 IAEA(국제원자력기구) 기준에 따라 오염수 방류가 이뤄진다면 방류량이 많지 않아 영향은 미미하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오염수 처리만으론 국민 불안감 해소나 근원적 문제 해결로 이어지기는 어렵다고 했다.
지난 2011년 사고가 난 후쿠시마 원전을 거친 지하수가 바다로 유입되면서 매일 4백 톤가량 오염수가 발생하고 있고, 일본 정부가 오염수 확산을 막기 위해 2016년부터 원전 주변 1.5㎞ 범위에 영하 30도의 냉각재가 들어가는 약 30m 길이의 파이프를 1m 간격으로 설치해 땅을 얼려 지하수가 원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했지만, 해안가에 있는 후쿠시마원전의 입지와 차수벽에 대한 공학적 설계를 고려하면 지하수 유입과 바다로의 유출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없다는 얘기다.
일본 내에서도 동토차수벽이 효과가 별로 없다는 지적이 일부 제기되는 가운데,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한 소장은 “오염수 정화, 처리도 중요하지만, 발전소 내에서 새는 부분의 양이 100~1000배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10여 년 전 사고가 발생했을 때 나온 오염수의 양이나 지금도 새는 양에 대한 평가 없이 앞으로 내보낼 양만 적다고 하는 것은 근원적 해결책이 될 수 없다”고 힘줘 말했다.
그는 국민의 불안감을 없애려면 이처럼 근원적 원인을 해결하는 한편 알파, 베타, 감마 핵종 중 베타 핵종까지 방사능 검사를 확대하는 등 더 강화된 수산물 수입 감독도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원자력 기술에 대한 발전 역사를 고려하면 임상검증에는 한계가 있고, 과학기술의 확실성도 장담하기 어려워 수산물 수입 감독 같은 안전 요소는 꾸준히 챙기고 점검해야 한다고 했다.
한 소장은 “인류가 방사능 영향에 따라 어떤 유전적인 영향을 받는 지 등에 대한 임상학적 증거가 부족하고, 불확실성이나 위험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과학적 접근을 통해 안전성을 계속 검증해야 한다”면서 “30년 뒤, 60년 뒤까지 오염수를 방류하더라도 그때 생긴 것들은 또 버릴 수밖에 없어 근원적인 원인도 함께 따져보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한병섭 소장은
△한양대 원자력공학과 학사 △KAIST 핵화학 석박사 △한국원자력연구원 박사후연구원 △한국전력기술 연구원 △현 한국원자력안전방재연구소 이사 △현 원자력안전연구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