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안팎에서는 구술·프레젠테이션(PT) 심사 비중을 줄이는 한편 서류 심사가 당락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얘기가 돌면서 경쟁력 있는 제안서 작성에 올인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
산업은행(산은)과 한국성장금융(성장금융)은 오는 26일까지 ‘정책형 뉴딜펀드’ 1차연도(2021년) 제안서를 접수한 뒤 회사별 실사와 프레젠테이션(인터뷰 포함)을 거쳐 2월쯤 운용사를 선정할 계획이다.
크게 투자제안형과 뉴딜성장형으로 나눈 가운데 부문별로 △D.N.A. △미래차 △친환경·녹색산업 △뉴딜 서비스 △SOC·물류디지털화 △스마트팜·제조 등 6대 뉴딜 핵심산업에 공고에 제시한 세부 분야만 87개에 이른다. 여기에 운용사별 전략과 전문성 등을 감안해 뉴딜분야 내 투자주제를 제시하고 적합한 분야를 선택해 제안할 수도 있게 했다.
구체적인 운용사 선정 계획도 나왔다. 1200억원 이하(출자비율 35%) 투자제안형 펀드에는 최소 5개에서 최대 12개 운용사를 선정할 방침이다. 아울러 1200억원 초과(출자비율 35%) 투자제안형 펀드에는 2~4곳, 1500억원 초과(출자비율 30%) 규모인 ‘뉴딜성장형’ 펀드에는 2~6곳의 운용사를 선정하기로 했다. 산술적으로 최대 22곳의 운용사에 기회가 돌아갈 수 있는 셈이다.
지난해 ‘혁신기업 성장지원펀드’(성장지원펀드)가 총 18곳의 운용사를 선정한 점을 감안하면 운용사 수가 소폭 늘어날 것이라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총 3조원 규모 성장지원펀드와 달리 정책형 뉴딜펀드는 최대 4조원 규모로 조성될 예정이어서 펀드별 출자 금액 등 기회 부여 측면에서 올해가 더 나을 것이라는 평가가 적지 않다.
투자제안형에는 벤처캐피탈(VC)과 독립계 사모펀드(PEF)가, 뉴딜성장형은 중대형 PEF들의 경쟁이 치열할 전망이다. 주목할 점은 ‘해당 펀드에 운용사가 얼마나 집중할 수 있느냐’는 점을 평가 항목으로 넣었다는 점이다. 지난해 기회를 얻지 못한 운용사들의 경우 이 부분을 집중적으로 어필할 전망이다.
여기에 주관기관의 위탁 운용 펀드 청산수익률과 출자확약서(LOC)를 참고한다는 조항이 있어 운용사별로 어떤 트랙레코드(투자사례)를 보유하고 있는지도 중요한 요소로 꼽힌다.
◇ 서류심사 올인…펀드레이징 전략이 분수령
정책형 뉴딜펀드 운용사 선정은 1차 서류 심사와 2차 구술 심사로 이뤄진다. 코로나19 여파로 지난해 비대면으로 이뤄졌던 2차 실사·구술 심사가 올해도 이어질 것으로 보여 관련 대응에 나선 모습이다
다만 운용사들은 1차 서류심사를 승부처로 보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구술심사나 PT는 주관적인 측면이 강한데다 비대면으로 이뤄지다 보니 상당 부분 정량평가(서류심사)로 평가하면서 주관적인 평가의 폭을 줄일 것이라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며 “서류심사에서 경쟁력을 인정받을 경우 실질적으로 뒤집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도 “주관기관 외에도 외부위원들이 참여해 심사를 진행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2차 심사는 서류심사에 대한 부연 설명이나 계획을 듣는 정도로 진행할 것으로 본다”고 전했다.
펀드 결성시한(블라인드펀드 기준 8개월) 준수 여부가 중요한 평가 요소가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선정된 운용사들은 출자금을 제외한 65~70% 규모의 펀드레이징(자금모집)을 주어진 시간 안에 끝내야 한다.
한 기관 투자자는 “앞선 사례에서 운용사로 선정되고도 펀드레이징을 끝내지 못한 운용사들이 나온 경우가 있다”며 “제안서 작성이나 구술 심사 때 어떻게 자금 마련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상세한 전략이나 설명이 있다면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