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하인환 KB증권 연구원은 “최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지지율이 높다는 소식, 그리고 케네디가(家)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할 것이라는 소식 등으로 인해 2024년 11월 5일에 예정된 미국 대선에 대한 경계감이 벌써부터 높아지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1년이나 남은 이벤트인 만큼, 2023년 10월인 현 시점에서의 대응 전략에 대해 고민해봤다”면서도 “현재는 누가 당선될 것인지는 ‘모니터링’만 하면 된다”고 강조했다.
현시점에서 누군가의 지지율이 높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1년 뒤에 당선을 의미하는 것은 전혀 아니기 때문이다. 그는 “지지율은 엎치락 뒤치락 하는 흐름을 보일 수밖에 없으며 지금 벌써 한쪽의 당선 가능성을 높게 보고 포트폴리오를 고민할 필요는 없다”면서 “이는 단기적인 변동에 그칠 것이기 때문”이라고 판단했다.
이에 따라 지금 고민해야 할 것은 ‘누가 당선되더라도 변함이 없는 것’을 찾아야 한다는 설명이다.
하 연구원은 “트럼프 전 대통령 때부터 정책 강화를 시작했고, 지금도 유지되고 있는 것이 안전한 선택지가 될 것”이라며 “그 외에, 전·현직 대통령 간 차이가 있는 정책 분야에 대해서는 향후 지지율 모니터링을 하며 대응하는 것이 적절한 선택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트럼프 전 대통령과 조 바이든 현직 대통령의 교집합에 주목해야 한다”며 “트럼프 전 대통령이 대선에서 승리할 경우, 현재 미국의 정책들이 상당 부분 뒤바뀌게 될까? 의외로 큰 방향에서는 변화가 없을지도 모른다”라고 내다봤다.
트럼프 전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 모두 미국 우선주의의 패권전쟁 (또는 공급망 재편)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미국으로의 리쇼어링(해외 진출 기업의 국내 복귀)은 트럼프 행정부 때부터 본격화한 이슈였으며 한국은 이미 2016~2017년 즈음부터 미국으로의 투자를 확대하던 중이었다”며 “중요한 점은 트럼프 행정부 때와 바이든 행정부 때의 차이가 없다”고 말했다.
차이가 없는 이유는, ‘탈세계화 시대의 공급망 재편을 위한 투자’라는 것은 정당이나 대통령의 정책의 문제가 아닌 시대적인 변화에 따른 문제였기 때문이다.
그는 “특히 미국 국방부 산하 연구기관인 고등연구계획국(DARPA)의 예산은 사실 트럼프 행정부 때부터 본격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했다”며 “대통령이 누가 되든 상관없이 기술에 대한 투자는 계속될 것임을 방증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