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성 대형산불 '레드라인'…산림청 예방부터 대응·복구까지 통합관리

박진환 기자I 2017.08.25 06:00:00

1998년부터 35건의 대형산불로 3만3000㏊ 산림 초토화
이상기후 고온·건조현상에 강풍까지…대형·재난성 확대
산림청, 산불예방·대응위해 가용가능한 정책수단 총동원
2025년까지 초대형 및 야간진화 등 헬기 60대까지 확충
첨단기술 동원 산불예방·대응·복구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지난 5월 강원 강릉과 삼척에서 발생한 산불이 건조한 날씨에 강풍을 타고 재난성 대형산불로 확산되고 있다. 이 산불은 4일간 산림 1017㏊와 주택 36채, 이재민 81명을 발생시킨 지 4일 만에 진화됐다.
사진=산림청 제공
[대전=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2000년 4월에 발생한 동해안산불은 강원도 강릉시 등 5개 시·군에 걸쳐 산림 2만 4000㏊를 잿더미로 만들었다. 이는 여의도 면적(290㏊)의 83배, 축구장(7140㎡) 3만 3000여개에 달하는 규모다. 이 같은 끔찍한 재앙이 잊히기도 전인 2005년 강원 양양·속초 일원에서 발생한 양양산불은 산림 973㏊와 함께 천년고찰 낙산사 등 주요 문화재를 삼켰다. 올해에도 지난 5월 강원 강릉과 삼척에서 발생한 산불은 건조한 날씨에 강풍을 타고 재난성 대형산불로 확산되면서 4일간 산림 1017㏊와 주택 36채, 이재민 81명을 발생시킨 지 4일 만에 겨우 진화됐지만 아직도 복구가 진행 중이다.

◇이상기후에 따른 고온·건조현상에 강풍까지 결합…대형·재난성 산불로 확대

산불방지대책사업이 시작된 1998년부터 올해까지 전국적으로 35건의 대형산불(피해면적 100㏊ 이상)이 발생해 모두 3만 3144㏊의 산림이 초토화됐다.

특히 4월(23건, 66%)과 3월(10건, 33%)에 대형산불이 집중됐으며, 올해의 경우 최초로 강원 강릉·삼척에서 5월 대형산불이 발생했다.

인명과 재산, 산림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끼치는 재난성산불도 2000년 이후 5건이 발생해 전국 12개 지역에서 2만 9238㏊의 산림이 사라졌다.

문제는 최근 이상기후에 따른 고온·건조현상이 해마다 반복되면서 산불이 대형·재난성으로 확대되고 있다는 점이다.

천년고찰 낙산사를 불태운 2005년 양양산불에서도 최대풍속 32m/s의 강풍이 덮치는 등 건조한 날씨에 강풍이 결합하면서 산불을 확산시키고, 진화를 막는 요인으로 지목받고 있다.

최근 봄철(1월 1일~5월 10일) 건조일수도 최근 10년간 평균 74일에서 지난해 84일, 올해 93일로 길어지고 있는 반면 누적강수량은 최근 10년간 244㎜에서 올해 150㎜로 크게 줄었다.

여기에 등산·휴양 등 산림을 찾는 방문객들이 늘고 있어 전국에 동시다발적인 대형산불 발생 우려가 높아지면서 강력한 산불방지정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003년 3월 충북 진천 일원에서 산불이 발생한 가운데 산림청 소속 진화헬기(기종 KA32)가 산불을 진화하고 있다.
사진=산림청 제공
◇동시다발적인 대형·재난성·야간 산불에 대응하기 위해 산불진화헬기 확충

산림청은 대형·재난성 산불 발생을 사전에 차단하고, 대응체계 및 진화역량을 강화해 산불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한다는 정책목표를 밝혔다. 우리의 소중한 자원이자 생명의 근원인 산림을 지키고, 국민의 안전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산림청은 가용가능한 모든 정책 수단을 총동원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진화헬기 확충 △전문인력 확충 및 훈련강화 △예방·대응 인프라 확충 △산불상황 신속전파 체계 구축 △조직강화 및 법·제도 개선 등 5대 추진전략 및 과제를 설정, 올해부터 중점 추진하기로 했다.

우선 산불진화 헬기 등 대대적인 장비확충에 나선다.

전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는 대형·재난성 산불피해 최소화를 위해 전문 진화헬기 및 야간진화가 가능한 대형헬기 도입이 시급한 과제이기 때문이다.

산림청이 산불진화를 위해 현재 운용 중인 헬기는 초대형 3대, 대형 30대, 소형 12대 등 모두 45대다. 이를 2025년까지 초대형 4대, 대형 43대, 중형 9대, 소형 4대 등 모두 60대까지 늘린다는 것이 산림청 복안이다. 야간산불 진화가 가능한 헬기도 도입해 내년부터 2025년까지 모두 20대 이상을 운영하기로 했다. 또한 소방과 군·경찰, 지자체 등 유관기관간 헬기에 대한 신속 동원 및 공조·지휘체계 확립도 앞으로 해결해야 할 주요 과제다.

1996년 4월 강원 고성에서 산불이 발생한 가운데 산림청 소속 산불진화헬기가 산불을 진화하고 있다.
사진=산림청 제공
◇산림청, 산불예방부터 대응·복구까지 ‘통합관리시스템’ 구축키로

산림청은 대형산불 취약지역인 강원도 동해안과 경북 동해안 등 2곳에 ‘동해안 산불방지센터’ 2개소를 설치하고, 지역별 산불발생 위험도에 따른 산불진화헬기·장비·감시인력 등 대응자원의 탄력적 재배치 및 관리시스템 구축할 계획이다.

야간·도시·대형산불 대응을 위해 전국 17개 시·도 및 32개 산림청 소속기관에 98개팀(1개팀 10명)의 산불특수진화대를 배치 운영하기로 했다.

또한 현재 1만 110명으로 구성된 산불예방진화대를 앞으로 1만 5000명까지 확대 운영하는 등 산림인접지역 및 산림 내 인화물질 제거 확대로 산불 원인의 사전 차단 사업도 추진한다.

특히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해 첨단기술을 적용한 산불 예방·대비·대응·진화 체계를 구축한다.

산불상황관제시스템의 기능 개선 및 고도화, 체계적 운영을 정착하는 한편 3차원 산불확산예측모델과 연계를 통한 대응기술의 고도화에 집중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현재 80%대인 산불예보 알림기능 및 정확도를 90%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행정안전부, 국방부, 문화재청, 경찰청, 지자체 등 산불상황 유관기관간 정보 공유 및 대피알림 시스템도 체계화된다.

김재현 산림청장은 “산불 발화원인 규명 및 가해자 검거 지원을 위한 ‘산불전문조사·감식반’을 확대 운영하는 한편 대형산불의 발생이 우려되는 지역에 대해 강화된 기준의 조림 및 숲가꾸기 사업을 진행할 것”이라며 “산불피해지역의 복구조림도 추가 피해예방을 위해 단순 소나무림 조림을 지양하고, 내화수림대 조성을 병행해 추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