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경제 상황은 지난 1990년대 장기 불황이 계속되자 제로(0)금리 정책을 도입, 경제 성장을 유도했던 일본의 모습과 유사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는 미국도 제로금리 속에서 저성장을 벗어나지 못했던 일본의 전철을 밟는 게 아니냐는 우려로 이어지고 있다.
|
13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이 국가 신용등급 강등 후 제로금리를 유지하겠다고 밝힌 점은 과거 일본과 흡사하다고 보도했다. 연준의 초저금리 정책 발언 이후 채권 투자자들이 미국과 일본 경제의 동질성을 고려해 투자 모델을 조정하고 있다고도 덧붙였다. 투자자들 사이에서 미국이 일본의 침체 사례를 따라갈 수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는 의미다.
일본은 제로금리 정책을 통해 성장을 꾀했지만 오히려 가계 이자소득의 감소와 소비 부진, 기업투자와 고용 악화라는 부작용을 불러왔다. 미국 역시 비슷한 악순환에 빠질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 의견이다.
로렌스 서머스 전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파이낸셜타임스(FT) 기고를 통해 "미국은 일본의 잃어버린 10년의 한가운데 있다"고 직접적으로 지적했다. 최근 5년간 연평균 경제성장률이 1%에도 미치지 못하고 고용인력 비중도 크게 떨어지는 등 일본의 버블 붕괴 후 상황과 유사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당초 미 정부의 제로금리 정책은 대규모 유동성을 시장에 푸는 양적완화와 함께 경기 회복 수단으로 사용됐지만 실제 경제는 여전히 부진을 벗어나지 못하면서 그 효과에 대한 의문도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통화정책만으로 경제 성장의 불씨를 되살리기는 것은 사실상 어려운 게 아니냐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일각에서는 미국이 현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추가 양적완화를 실시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CNBC가 60명의 이코노미스트를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응답자의 46%가 연준이 내년에 3차 양적완화를 실시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는 직전 조사와 비교하면 2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그만큼 미 경제 상황이 심각하다는 방증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