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산업 年 1100조 규모로…'클러스터' 짓고 'K-브랜드' 육성

김은비 기자I 2023.06.28 08:00:00

농식품부, ''제4차 식품산업 진흥 기본계획'' 발표
푸드테크·그린바이오로 식품산업 부가가치↑
라면·배 등 수출 유망품목 ''K-브랜드''로 육성
농가·기업, 계약재배 지원 ‘원료중계 플랫폼’ 구축

[세종=이데일리 김은비 기자] 정부가 2027년까지 식품산업 규모를 1100조원으로 성장시킨다. 푸드테크·그린바이오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혁신클러스터’를 조성해 식품산업의 부가가치를 높인다. 또 라면·배 등 수출 유망품목을 ‘케이-브랜드(K-Brand)’로 육성해 농식품 수출 150억 달러를 달성한다. 김치·전통주·장류 등 전통식품 산업도 품질 경쟁력 강화를 통해 활성화시킨다.

(사진=농식품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식품산업 진흥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케이푸드(K-Food) 산업의 세계적 경쟁력을 강화해 2021년 기준 656조원 규모의 식품산업을 2027년 1100조원(연평균 성장률 9%)으로 성장시킨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첨단기술을 통한 식품산업 성장 도모 △케이푸드(K-Food) 경쟁력 강화 △전통식품 산업 활성화 △식품산업과 농업 간 연계 강화 △식품산업의 성장 기반 공고화 등 5대 추진전략을 추진한다.

우선 푸드테크·그린바이오 기술을 통한 식품산업의 혁신 성장을 이끈다. 이를 위해 지역 단위 푸드테크 산업 생태계 및 해외 수출 거점 조성한다. 푸드테크 10대 핵심기술을 중심으로 ‘푸드테크 혁신클러스터’를 조성해 기업·대학·연구기관 간 공동 연구개발(R&D), 기술 실증 등 네트워킹을 지원한다. 또 푸드테크 계약학과를 지난해 기준 4개에서 2027년까지 12개로 확대해 융합인재를 양성한다. 또 주요 수출국에는 기업 사무공간·컨설팅 지원 등을 위한 ‘K-푸드테크 글로벌센터’를 설치한다. 그린바이오 역시 분야별 거점 중심으로 기능성식품·고령친화식품 등 미래 유망 식품도 적극 육성한다.

K-Food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 2027년까지 농식품 수출 150억달러를 달성한다. 라면·배 등 수출 유망품목을 ‘K-브랜드’로 육성해 현재 11개인 1억달러 이상 수출 품목을 20개로 확대한다. 물류·유통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수출통합조직 중심으로 공동으로 운송사와 운임 협상을 하는 공동포워딩을 하고, 저온유통체계 구축을 확대한다. 높아진 한식 인지도를 내수·관광·수출로 연결하기 위해 2027년까지 미식관광상품인 15개의 ‘케이(K)-미식벨트’를 조성하고, 해외 우수 한식당 지정도 확대해 국산 식재료 수출 확대로 연결한다.

김치·전통주·장류 등 전통식품 산업 활성화 기반도 마련한다. 김치 원료공급 단지 조성하고, 2027년까지 김치 종균을 개발·보급해 품질 제고를 추진한다. 자동화 공정 개발·보급을 통한 생산원가 절감 및 정밀센서를 활용한 이물질 발견 등으로 식품 안전·위생을 강화한다. 전통주는 한식과 연계한 수출상품화를 추진한다. 도자기·병 등 고급 패키징을 지원하고 해외 한식당과 연계해 수출을 확대하는 방식이다. 장류는 종균 개발·보급을 통해 발효를 과학과 하고 전통 장류 기능성 규명 연구 추진, K-Food 소스 개발 지원을 한다.

농업-식품기업간 지속가능한 상생협력 체계 구축한다. 식품기업-농가 간 계약재배를 지원하는 ‘원료중계 플랫폼’ 구축을 검토하고, 우수사례 발굴·정부 포상 등을 통해 확산할 수 있도록 한다. 전략작물직불제 등을 통한 원료 생산단지 확대, 대체식품 원료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해 ‘디지털 식품 정보 플랫폼’을 통해 제공한다. 국산 원료 사용 우수기업에 대한 정책자금 지원 확대 및 금리를 인하하고, 정부 포상도 추진한다.

마지막으로 ESG 등 변화된 경영 환경 대응 등 식품산업의 성장 기반을 공고히 한다. 식품업계 인력난 해소를 위해 외국인력 고용 규제를 완화하고, 계약학과 운영 등 전문인력을 양성한다. 자금 지원 확대를 위해 원료매입·시설현대화 등을 늘린다. 원재료에 대해서는 할당관세, 계약재배 등을 지원한다. 또 올해 380억원을 투자해 식품 소재 국산화, 식품 품질·안전성 제고 등을 위한 R&D 지원을 강화한다. 이 외에도 식품 생산단계별 안전관리 강화, 식품 관련 정책에 대한 소비자 참여 확대, 정보제공 강화 등을 통해 소비자 신뢰를 제고한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