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241곳 중 19곳…`혁신학교 무덤` 된 강남 3구

신중섭 기자I 2020.12.28 05:00:00

서초 경원중 학부모 반대로 혁신학교 무산 절차
학력저하·집값하락 우려로 강남 진출 번번이 실패
2018년 헬리오시티, 작년엔 강남 대곡초 등 무산
"객관적 연구결과로 학력저하 우려 불식시켜야"

[이데일리 신중섭 기자]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의 역점 사업인 `혁신학교`가 강남에서 번번이 고배를 마시고 있다. 해마다 강남·서초·송파구 등 이른바 `강남 3구` 학부모들이 학력저하를 이유로 혁신학교 지정에 강력 반발하며 지정 철회 논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경원중학교 혁신학교 지정 반대 현수막 (사진=서울시교육청)
◇서울 혁신학교 241곳 중 `강남 3구`는 19곳

27일 교육계에 따르면 최근 학부모들의 반발로 논란에 휩싸였던 서울 서초구 경원중에 대한 혁신학교 지정철회 절차가 진행 중이다. 서울시교육청은 오는 30일 혁신학교 운영위를 열어 경원중의 혁신학교 지정 취소 여부에 대해 최종 결정할 예정이다.

앞서 서울시교육청은 내년 3월 1일자로 경원중을 마을결합 혁신학교로 지정했다. 하지만 경원중 학부모들은 혁신학교 지정 시 학생들의 학력 수준이 떨어질 것이라며 지정 철회를 요구했다. 지난 7일에는 100명이 넘는 학부모와 주민이 모여 교직원의 퇴근까지 막아서고 심야 농성을 벌이는 등 갈등이 폭발했다. 결국 경원중은 학교운영위원회를 거쳐 마을결합 혁신학교 취소 결정을 발표했다.

마을결합 혁신학교는 서울시교육청이 운영하는 혁신학교 유형 중 하나다. 혁신학교는 자율적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경쟁보다는 학생들의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등을 기른다는 목적에서 도입된 학교형태다. 책상 배치를 `ㄷ자`로 놓고 토론을 벌이는 등 학생 참여 중심의 수업을 지향한다. 김상곤 전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이 지난 2009년 경기도교육감 시절 도입한 것이 시초며 서울형 혁신학교는 지난 2011년부터 운영되고 있다. 조 교육감은 지난 2014년 1기 취임부터 혁신학교를 역점사업으로 두고 있으며 2기에 들어서는 2022년까지 250개교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고 구체적 목표까지 세웠다.

하지만 서울 혁신학교는 유독 강남·서초·송파구 등 `강남 3구`에만 진출하지 못하고 있다. 내년 3월 1일자로 서울의 혁신학교는 총 241곳이며 강남 3구에 위치한 혁신학교는 △강남 9곳 △서초 4곳 △송파6곳 등 19곳(7.8%)에 불과하다. 다만 이 수치에는 이번에 논란이 된 경원중도 포함돼 있어 사실상 18곳에 불과한 셈이다. 강남 3구를 모두 합쳐도 20곳이 있는 중랑구보다 적은 숫자다.

혁신학교가 번번이 강남에 진출하지 못하는 이유는 학부모들과 주민들의 반대 때문이다. 이번 경원중 사태처럼 매년 강남 지역에서는 혁신학교 지정을 두고 갈등이 생기고 있다. 지난 2018년에는 송파구 헬리오시티 아파트 주민들이 단지 내 신설 학교가 혁신학교로 지정되자 이에 강하게 반발해 지정이 취소됐다. 지난해에는 강남구 대곡초·개일초가 공모를 통해 혁신학교 전환 신청을 하려 했지만 학부모 반대로 무산됐다.

◇“객관적 연구결과로 학력저하 불안 잠재워야”

학부모들이 반대하는 이유는 `학력 저하`에 대한 우려 때문이다. 지난 2017년 곽상도 국민의힘(당시 자유한국당) 의원이 교육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6년 기준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에서 혁신 고등학교 기초학력 미달 학생 비율은 11.9%로 전국 고교 평균(4.5%)의 2.6배였다. 혁신 중학교는 기초학력 미달자 비율이 5.0%로 전국 중학교 평균(3.6%)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 저하 외에도 입시·사교육으로 특화된 강남에 정반대의 교육목적을 가진 학교가 들어오면 집값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강남구에 거주하는 한 중학생 학부모는 “강남에 입시 위주 교육을 하러 온다는 건 공공연한 사실 아니냐”며 “특히 정시 확대로 수능 위주 학습과 사교육이 중요해진 상황에서 성격이 전혀 맞지 않는 학교가 들어오면 누가 반기겠느냐”고 말했다.

반면 혁신학교에 대한 우려가 과장됐다는 반론도 존재한다. 지난 2018년 교육부가 발표한 혁신학교 성과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혁신학교 학생은 6학년 때 국어·수학·영어 3과목 성취도가 모두 일반학교 학생보다 낮았다. 하지만 중·고교를 거치며 학업성취도 향상을 보인 집단에서 혁신학교를 경험한 학생 비율이 일반학교 학생보다 더 높았다. 경기도교육연구원이 지난 2017년 발표한 `새로운 학력관에 기반한 혁신학교 성과분석연구`에서는 혁신학교 학생들이 일반 학생보다 학업자아개념, 공동체적 문제해결력, 내재적 학습동기 등 정의적 성취 수준이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

전문가들은 교육당국이 혁신학교 성과에 대한 객관적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불안요소를 해소시켜야 한다고 조언한다. 이범 교육평론가는 최근 출간한 `문재인 이후의 교육`에서 “교육청은 학력저하론을 실증 자료를 들어 반박함과 아울러 혁신학교와 비혁신학교를 비교할 수 있는 학력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축적해야 한다”며 “혁신학교도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대응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박남기 광주교대 교수도 “학부모가 교육당국의 생각을 제대로 이해 못했거나 교육당국이 학부모가 느끼는 불안요소를 완전히 해소하지 못했기에 갈등이 발생하는 것”이라며 “혁신학교 성과를 나타내는 객관적인 연구결과 발표와 함께 학부모 소통을 이어나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기초학력 저하 문제를 포함해 혁신학교에 대한 세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2020년 3.1. 기준 서울형 혁신학교 행정구역별 현황(사진=서울시교육청 학교혁신지원센터)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