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비의 문화재 읽기]창경궁, 어떻게 日에 의해 '위락시설'로 전락했나

김은비 기자I 2020.11.30 06:00:00

1907년 순종 덕수궁→창덕궁 이어 당시
"황제 무료함 달래드리기 위해 제안"
사실상 황실 상징인 궁궐 격하시키기 위해

1911년 11월에 준공된 ‘이왕가박물관 본관’ 전경을 담은 조선명소 사진엽서(사진=서울역사아카이브)
[이데일리 김은비 기자] “1907년 한국 황제(순종) 즉 현재 이왕전하가 창덕궁으로 별거 준비를 할 때 창덕궁 수선공사를 하면서 나는 그 공사의 감독을 맡았다. 당시 내각총리대신 이완용·궁내부대신 이윤용이 황제가 무료해하실 것을 달래드릴 오락이 없겠냐 물어 동식물원과 박물관 창설을 제의하고 계획의 대략을 설명하니, 크게 기뻐하며 찬성했다.”

1912년에 발간된 ‘이왕가박물관소장품사진첩’에 당시 이왕직 차관이었던 고미야 사보마쯔(1859~1935)는 우리나라의 최초 박물관인 ‘이왕가박물관’이 동·식물원과 함께 조선 5대 궁궐인 창경궁에 설립된 배경을 이렇게 설명했다. 창경궁은 조선 9대 임금인 성종이 1883년 세 명의 대비를 모시기 위해 창덕궁 동쪽에 세운 궁궐이다. 이후 왕과 왕가의 출입이 잦았고, 임금이 문신들과 경전이나 역사서 등을 강론하기도 했던 유서깊은 곳이었다.

최근 국립고궁박물관은 이왕가박물관이 촬영한 유리건판 사진 16점을 온라인으로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사진 속에는 창경궁 전각을 전시실로 사용했던 당시 상황을 구체적으로 보여줘 눈길을 끈다. 이왕가박물관은 창경궁 내의 명정전, 경춘전, 환경전, 통명전 등 400여평에 이르는 건물 일곱 채를 수리해 전시관으로 사용했다. 왕이 있던 궁궐로서 역사·문화적 가치를 지닌 장소가 어떻게 일본인에 의해 위락 시설로 전락할 수 있었던 걸까.

1907년 일본은 헤이그 특사 사건을 빌미로 이토 히로부미(1841~1909)를 경성에 파견했다. 이토는 을사조약을 위반했다며 고종을 강제 퇴위시키고 이완용과 정미 7조약을 체결해 대한제국 정부의 각부 차관을 일본인으로 임명했다. 이때 이토의 최측근이었던 고미야는 당시 궁내부 차관 겸 제실재산정리국장에 임명돼 창덕궁 공사에 참여하게 된 것이다. 이들은 고종 뒤를 이어 즉위한 순종을 고종과 격리시키기 위해 순종을 창덕궁으로 이어했다. 그리곤 겉으로는 순종을 위안하기 위한 시설이라는 명분을 내세웠 박물관 및 동·식물원을 만들었지만 결국 황실의 상징인 궁궐을 격하시키고자 했다.

이왕가박물관이라는 이름에서도 일본에 복속된 식민지 박물관이라는 인상이 강하게 드러난다. 이왕가는 1910년 한국을 합병한 일본이 일본 황실 안에 조선의 왕계를 편입해 일본 황실보다는 격이 낮은 여러 왕가의 하나로서 붙인 명칭이다. 조선의 왕실 박물관이라는 의미보단 조선이 일본 제국에 편입됐다는 것을 공공연히 드러내고자 했던 일본의 뜻이 담겨 있다. 일본은 이듬해에는 창경궁을 아예 ‘울타리를 쳐서 짐승과 나무를 키운다’는 뜻인 ‘원’(苑)자를 붙여 ‘창경원’이라고 바꾸기도 했다.

심지어 이왕가박물관이 전시할 유물을 사모으기 시작하면서 도굴까지 성행했던 것을 전해진다. 이왕가박물관은 왕실 전래품이 주요 전시품이 아니라 외부에서 구입 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박물관은 문을 연 지 4년만에 무려 1만2000점이 넘는 소장품을 마련할 정도로 많은 유물을 사들였다. 특히 고려청자 애호가로 알려진 이토는 큰 돈을 들여서까지 청자를 매입했고, 이에 일확천금을 꿈꾼 일본인들이 도굴을 해 가면서 청자 수집에 뛰어들었다.

이왕가박물관에도 도굴품이 있었다는 단적인 예로 고종이 박물관 구경 중 고려 청자를 보고 “이것은 어느 나라 것이냐”고 이토에게 물은 일화가 있다. 이토가 “조선의 고려시대 것”이라고 답하자 고종은 “우리나라에는 그런 것이 없다”고 했다. 차마 개성의 고려고분에서 도굴한 것이라 말할 수 없었던 이토는 침묵했다고 전해진다.

이렇듯 아픈 역사를 가진 이왕가박물관은 1938년 소장품 가운데 미술품을 덕수궁으로 옮겨가면서 이왕가 미술관으로 통합됐다. 그 이전까지 박물관은 조선총독부 박물관과 함께 매년 3만 9180명이 방문하는 유원지로 이용됐다.

이왕가박물관 저시실로 사용된 창경궁 명정전에 진열된 석탑 기단부 면석(사진=국립고궁박물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