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과 집중호우, 한파 등 이상기후는 온실가스로 인한 지구온난화 영향이라는 경고는 꾸준히 있었습니다. 그런데 지금 이상기후가 갑작스럽게 느껴지는 이유는 지구온난화가 내 삶과는 관계없다는 생각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앞으로 50년. 계속해서 지구온난화에 무관심하다면 무시할 수 없는 변화가 나타난다는 보고서가 나왔습니다.
|
환경부와 기상청은 지난달 28일 ‘한국 기후변화 평가보고서 2020’을 공동으로 발간했습니다. 보고서는 120여 명의 전문가가 참여해 한반도를 대상으로 2014년부터 2020년까지 발표된 총 1900여 편의 국내외 논문과 각종 보고서의 연구결과를 분석한 뒤 한국 기후변화 연구동향과 전망을 담았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한국의 기후변화 상황이 전 지구의 평균보다 더 좋지 않다는데 동의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의 평균 기온이 오르는 추세가 심상치 않습니다. 100년 동안 지구의 지표온도가 0.85도 높아졌지만 한국은 2.6배 정도인 1.8도 올랐기 때문입니다. 특히 온실가스를 지금처럼 배출하면 21세기 말에는 4.7도 이상 오를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세계 기온 상승 전망치는 2.5도 수준입니다.
한국의 주변 해수면 온도가 오르는 수준도 세계 평균을 뛰어넘고 있다. 49년 동안 우리나라 주변 해표면 수온은 1.23도 올랐습니다. 세계 평균은 0.47도 수준입니다. 특히 우리나라 상승 속도가 2.6배 빠릅니다.
|
지표온도와 해수면온도 1~2도 오른다는 게 단순히 조금 더 더워진다는 것만 의미하는 게 아닙니다. 기온 상승은 폭염과 집중호우 등 경험해보지 못한 기후변화로 이어지기 때문입니다. 특히 이번 보고서에서는 온실가스가 지금 수준으로 계속 배출되면 폭염일수가 3배 이상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현재 연간 10.1일인 폭염일수가 21세기 후반 35.5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는데요. 여름에 33도 이상인 날이 한 달 이상 계속된다는 뜻입니다.
갑작스러운 집중호우와 강력한 태풍도 찾아올 가능성도 커집니다. 실제로 100년 동안 연평균 강수량은 전반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여름철의 강수량 증가 경향이 뚜렷했습니다. 특히 여름철 집중호우도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고, 70년대 이후 한반도 주변 태풍 빈도와 강도 모두 증가했습니다.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기후변화는 먹는 문제와 질병 등 사회 전 부문에 영향을 미치기도 합니다. 먼저 50~60년 후면 제주도에서 주로 볼 수 있는 감귤은 강원도 지역에서 키울 수도 있겠지만 국내산 사과를 볼 수 없습니다. 주 식량인 벼의 생산성도 25% 이상 줄어들게 됩니다. 벚꽃의 개화시기는 2090년에 지금보다 11.2일 빨라지며, 소나무숲은 2080년대에 현재보다 15% 줄어들 전망이기도 합니다. 동물 매개 감염병, 수인성 및 식품 매개 감염병도 증가할 것으로 분석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