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날의 검` 유튜브…"무조건 안된다고만 말고 대화하세요"

조해영 기자I 2019.02.20 06:12:00

[초딩 유튜브의 그늘]④전문가 조언
"접근 못 하게 하는 건 답 아냐…왜 좋아하는지 물어야"
"교육현장에선 체계적인 미디어 교육 필요"

유튜브 키즈 홍보 영상. (사진=유튜브 갈무리)


[이데일리 조해영 기자] 유튜브가 초등학생의 일상인 상황에서 부작용 때문에 이를 막는 것은 절대 해답이 될 수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무조건적인 제재보다 가정에서 이에 대한 소통을 늘려 가는 것이 첫걸음이라고 조언한다. 학교 등 교육기관에서도 유튜브 등 멀티미디어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시작해 올바른 활용법을 익힐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김아미 경기도교육연구원 부연구위원은 “무조건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는 건 부모가 택할 수 있는 가장 간편한 접근법이지만 유효하지 않다”며 “유튜브를 통해 학습도 할 수 있고 영상을 찍고 올리며 자기표현도 가능한 만큼 긍정적 효과를 살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긍정적인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구체적 방법으로 유튜브가 제공하는 나이 제한 모드 기능이나 어린이를 위한 별로 애플리케이션 `유튜브 키즈`를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고 말한다. 제한 모드를 설정하면 일부 유해 콘텐츠가 걸러지며 유튜브 키즈에선 연령대에 따라 적절한 영상을 추천받을 수 있고 검색 등을 일부 제한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얘기다.

김 부연구위원은 “유튜브 가입 연령은 14세 이상이지만 많은 아이들이 나이를 속이고 가짜 계정을 만들어 유튜브를 보고 있다”며 “무작정 시청하지 못하게 해 아이들이 몰래 보게 만들기보다는 부모 계정을 통해 영상을 보도록 하고 아이들이 어떤 콘텐츠를 주로 보는지 등을 살펴보는 게 좋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건 부모와 자녀 간 대화라는 점을 강조했다. 아이가 문제가 있는 콘텐츠를 보더라도 곧바로 제지하기보다는 `왜 그 콘텐츠에 흥미를 느끼는지`, `유튜버가 쓰는 말들을 누군가가 들었을 때 상처가 될 수도 있지 않을지` 등 생각할 거리를 계속해서 던져주며 대화로 풀어나가야 한다는 조언이다.

가정뿐만 아니라 교실 안에서의 교육 필요성도 강조한다. 단순한 유행이라고 넘기는 것이 아니라 체계적으로 교육에 나설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심영섭 경희사이버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겸임교수는 “많은 아이가 `대도서관` 같은 유튜버를 꿈꾸고 있는 만큼 학교 역시 신문과 방송에만 매여 있지 말고 디지털 미디어를 설명하고 가르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교육과정 내에 미디어 교육을 접목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미디어 교육을 개별 교사의 재량에 맡겨두는 대신 정규 교육과정 안으로 끌어와야 한다는 지적이다. 심 교수는 “유튜브에 있는 좋은 영상을 교육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한편, 유튜브로 인해 초래되는 사생활 보호나 저작권 문제 등 악영향도 가르쳐야 한다”고 말했다. 나아가 “교대 등에서 예비 교사에게 미디어 활용 역량을 길러주는 작업도 병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