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산업이 그 어느 때보다 활발하게 움직이고 주목받고 있는 요즘 이데일리에서는 최근 한 주간 국내 제약·바이오업계에서 화제가 된 이슈들을 다시 돌아보는 <제약·바이오 한주간 이모저모> 코너를 마련했습니다. 이번 한 주(1월 14일~1월 19일)동안 제약바이오업계에서 주목받은 뉴스를 모았습니다.
|
“한국제약산업은 지금 큰 화산폭발이 터지기 직전입니다. 최근들어 동시다발적으로 터져나오는 신약기술 수출성과가 국내제약산업이 대폭발을 눈앞에 두고 있다는 것을 확실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은 지난 17일 서울 방배동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이같이 강조했습니다.
원 회장은 지난해 1월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의 취업제한 결정을 수용하고 회장직에서 물러났다가, 협회 회원사들이 만장일치로 복귀를 강력하게 요청하면서 다시 협회장으로 복귀했습니다. 신년 인사를 겸한 이날 기자간담회에는 약 100명에 달하는 기자들이 몰려들면서 제약바이오산업에 대한 관심을 나타냈습니다.
이날 원 회장은 한국 제약바이오산업이 1400조 세계 제약시장에서 대폭발 할 수 있도록 정부는 국가주력산업임을 선언하고, 그에 따른 건전한 산업 육성을 위해 보다 강력한 실천방안이 따라와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그는 “2025년에는 글로벌 매출 1조를 넘기는 국산신약이, 2030년에는 매출10조하는 국내 제약사가 각각 출현할 것”이라며 “2035년에는 의약품 수출이 100조원을 달성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이 같은 전망치는 높게 잡은 것이 아니라 현재의 성장속도를 가능하면 소박하게 잡은 충분히 실현 가능한 예상치라고 덧붙였습니다.
◇대법원 “염변경 약은 물질특허 침해”…국내 제약계 비상
국내제약사들이 오리지널 약품의 특허권을 회피하기 위해 주로 활용하던 염(촉매제)변경 전략에 더이상 의존할수 없게 됐습니다.
지난 17일 대법원 민사1부(주심 박정화 대법관)가 특허권 침해금지 소송에서 코아팜바이오가 승소한 원심을 파기하고 다국적 제약사 아스텔라스의 손을 들어줬기 때문입니다.
합성의약품은 ‘유효성분’과 약제의 안정성 등을 높이기 위해 염을 붙이는 형태로 주성분을 구성합니다. 유효성분에 대한 물질특허가 끝나기 전에는 이와 같은 성분의 복제약을 출시할 수 없지만, 국내 제약사들은 그동안 다른 염을 붙이는 방식으로 오리지널 제약사의 특허를 회피했습니다. 기존 제품의 특허를 무력화해 복제약이나 다름없는 제품을 조기 출시하는 수단으로 사용한 것입니다.
그러나 대법원은 이번 판결에서 특허권 기간이 연장된 오리지널 약의 특허효력에 대한 범위를 허가대상 품목에 한정하지 않고 치료효과 및 용도가 동일하다면 염과 같은 유효성분까지 포함한다고 명시했습니다.
이에 따라 염변경 개량신약에 의존한 국내 제약사의 타격이 예상됩니다. 이 같은 방식으로 개발하고 있는 약물은 180여개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의약품 특허 회피를 위한 제약사들의 개발 방식은 앞으로 전략 수정이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
국내 바이오벤처가 2000년대 초반 제1의 붐을 맞은 이후 최근 제2의 전성기를 누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6일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의 ‘국내 바이오 중소·벤처기업 현황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00년부터 2002년까지 제1의 바이오벤처 붐이 일어났을 때 국내 바이오 중소·벤처 수는 약 600개였으며, 지난 2015년부터 2017년 사이에는 약 1000개를 넘은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한미약품(128940)이 대규모 기술수출에 성공하고, 셀트리온(068270)이 세계 최초의 항체 바이오시밀러를 미국에서 출시하는 등 바이오산업에서 잇따라 성과가 나오면서 바이오 중소·벤처 설립이 크게 증가한 것입니다.
특히 바이오·의료 분야의 벤처캐피털(VC) 신규 투자가 늘면서 바이오산업 생태계는 점차 활성화되고 있습니다. 한국벤처캐피털협회에 따르면 바이오·의료 분야에 대한 VC투자는 지난 2016년 4686억원에서 2017년 3788억원으로 다소 주춤했으나, 지난해 10월까지 7016억원 투자가 이뤄지면서 다시 최대투자 업종에 올랐습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지난해 10월말 VC투자 비율은 바이오·의료가 24%로 가장 높고, ICT서비스가 22%, 유통·서비스가 17%로 뒤를 잇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