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툰서비스 13주년 네이버, '웹툰 한류' 꽃 피운다

이유미 기자I 2017.02.17 04:30:55

웹툰 내 광고·콘텐츠 유료화 등 웹툰 수익화 성공
라인웹툰, 총 5개 언어로 해외 서비스 중

글로벌 메신저 라인은 세계인의 사랑을 받지만 인도네시아 시장에선 국민 메신저 BBM(블랙베리 메신저)에 밀려 있다. 그렇지만 인도네시아 웹툰 1위는 ‘라인 웹툰’이다. 10년간 쌓아온 네이버 웹툰의 노하우에 해외 작가를 늘리고 현지 공모전을 연 덕분이다.

K-팝, K-뷰티에 이어 K-웹툰의 가능성이 열리고 있다. 웹툰은 2000년대 중반 네이버와 다음이 트래픽을 늘리기 위해 무료 서비스를 한 뒤 3~4년 전부터 레진엔터테인먼트, 탑코, 투믹스, 코미카 같은 전문 회사들이 유료시장을 열면서 ‘작가-플랫폼-교육’으로 이어지는 생태계를 만들었다. 내년까지 국내에서만 약 8700억원의 시장(KT경영경제연구소)을 형성할 전망이다.

웹툰은 출판,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 저작물 판권 시장도 활짝 열고 있다. 파노라마엔터테인먼트는 중국 게임사 창유와 한중 웹툰 퍼블리셔 ‘창만’을 만들고 텐센트동만에 코미카 웹툰을 연재 중이다. 웹툰은 이제 스마트폰에 최적화된 콘텐츠, 한국인의 창의성이 뭉쳐 글로벌 시장으로 질주하고 있다.-편집자주-

2015년 중국 광저우에서 열린 광저우국제만화축제 네이버웹툰관.(사진=네이버)


[이데일리 이유미 기자] 2000년대 초 네이버(035420)는 다음과 함께 웹툰 시장을 열었다. 네이버웹툰은 ‘웹툰 한류’를 일으키는 한편 2차 저작물 사례도 다양해지고 있다.

네이버는 우선 웹툰 원고료 외에 다양한 수익모델을 도입해 작가들이 작품에만 집중할 수 있는 창작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 노력 중이다. 창작자 수익 다각화 모델인 PPS(Page Profit Share) 프로그램을 통해 웹툰 내 광고는 물론 웹툰 캐릭터상품, 콘텐츠 유료화 등으로 다양한 수익원을 발전시켜왔다. 미공개 회차를 유료로 보는 ‘미리보기’와 유료 ‘완결보기’를 통해 한달에 약 9억원 매출을 올린 작품이 있을 정도다.

해외 시장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2014년 7월 글로벌 웹툰서비스 ‘라인웹툰’을 출시해 영어, 대만어, 중국어 등 총 5개 언어로 서비스 중이다. 연재가 완료됐거나 연재 중인 작품수는 780여편, 해외작가는 284명이다.

지난해 7월 기준으로 네이버웹툰 해외 사용자수는 1800만명으로 국내 사용자수인 1700만명을 뛰어넘었으며 라인웹툰 연재작의 누적 조회수도 51억건을 넘었다.

한국 작품의 해외 2차 판권 체결도 활발하다. 웹툰을 바탕으로 한 출판,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 판권 계약 작품과 논의 중인 작품까지 합치면 40여건이다.

차세대 기술 활용 등 새로운 시도도 이어가고 있다. 기존 상하 스크롤 방식에서 벗어나 옆으로 넘기면서 보는 슬라이드 방식의 ‘컷툰’을 적용하거나 특정 장면만 뽑아 다른 SNS로 공유할 수 있게 했다. 공포 웹툰 ‘폰령’의 경우 증강현실(AR) 기술을 적용해 웹툰에 등장하는 귀신이 독자 바로 앞에 나타나는 듯한 효과를 연출했다.

네이버 측은 “국내외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창작자들을 발굴해 웹툰 콘텐츠의 저변확대를 위해 노력하겠다”면서 “다양한 기술 요소도 활용하며 독자들이 신선한 콘텐츠를 만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라인웹툰 태국어 메인화면.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