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고졸채용을 통해 고학력층의 구직난과 중소기업의 인력난 등 노동시장의 수급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정부의 의지와 달리 현장에서 느끼는 온도차는 여전히 컸다.
대기업 중에서도 일정기간 교육을 거치면 고졸과 대졸을 임금과 승진 등에서 동등한 대우를 하겠다는 기업은 대우조선해양 등 일부에 그치고 있다. 삼성전자가 소프트웨어직 등 대졸자와 같은 직군에 고졸생을 채용한 것과 채용 이후에는 학력이 아닌 능력에 따른 평가를 받게 하겠다는 것은 그나마 긍정적인 편이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기업들이 생산직종에 고졸채용이 집중돼 있고, 체계적인 사내 교육프로그램과 대학 진학 지원 등은 미미하다.
중소기업은 상황이 더욱 열악하다. 마이스터고 출신들이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에 상대적으로 좋은 여건의 대기업에 취업하는 것과 달리 특성화고 졸업생은 중소기업에 취업해 낮은 임금과 불투명한 승진제도 등으로 이직을 반복하고 있다.
한 중소기업에 취업한 이재호(가명)씨는 "장밋빛 고졸 성공시대 분위기와 달리 취업한 이후에 임금 격차 및 처우, 고졸 무시 분위기가 여전했다"면서 "요즘들어 야간 대학이라도 진학 할까 고민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기업이 오히려 대학진학을 부추기고 있다는 얘기다.
김석연 청도전자고 산학협력부장은 "현 정부는 엘리트 기능인만 키우려고 하지 주로 중소기업 산업 일선에 들어가는 특성화고 졸업생을 위한 정책은 외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결국, 마이스터고 출신들은 대거 대기업이나 금융권에 몰리고, 대부분 특성화고 출신들은 중소기업으로 가는 양극화 현상이 벌어지는 것이다. 특성화고 출신들은 이마저도 이직이 잦아, 중소기업들은 우수인력 유치도 어렵거니와 인력난에 허덕이는 상황이 이어지는 셈이다. 그만큼 인력수급의 불일치는 지속될 수밖에 없다.
김선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평생직업교육연구실장은 "중소기업 근로자들을 위한 지속가능한 평생학습생태계가 미흡한 상태에서 인력수급의 불일치는 해결되기 어렵다"면서 "정부가 중소기업에 가시적인 세제나 복지혜택 등을 지원하는 등 다양한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부가 정책적으로 고졸채용을 장려하다보니, 상대적으로 현재 취업을 못하고 있는 대학생들이 역차별을 받고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장기적으로 고졸채용을 통해 대학진학률을 낮추겠다는 의도는 좋지만, 당장 일자리가 필요한 대학졸업생은 상대적으로 사각지대에 놓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 관련기사 ◀
☞[갈길 먼 고졸채용]①변함없는 차별에 그들은 좌절한다
☞[갈길 먼 고졸채용]②"나이 어리다고 허드렛일..막말은 다반사"
☞[갈길 먼 고졸채용]④"고졸도 외면하는 中企, 지원 늘려야"
☞[갈길 먼 고졸채용]⑤"고졸에게 막말·혹사..기업부터 바꿔라"
☞[갈길 먼 고졸채용]⑥고졸 일 `따로` 대졸 일 `따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