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검찰청에 따르면 전국 검찰청 요청에 따라 이뤄진 디지털 포렌식 건수는 지난해 1만3559건으로 3년 전인 2020년(8683건)보다 56.2%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전국 포렌식 수사관 인력은 86명으로 2020년과 비교해 고작 5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 단순 계산으로만 봐도 1명의 포렌식 수사관이 담당 검사의 요청에 따라 158건의 포렌식을 수행하고 있는 셈이다.
수사를 위해선 압수한 디지털 매체에서 증거를 확보하는 것이 필수다. 문제는 포렌식이 진행되면 압수물 봉인 해제부터 분석, 선별, 보고서 작성 등 관련 절차가 짧아도 하루 종일, 통상 48시간 이상 걸린다는 점이다. 각 검찰청마다 포렌식이 가능한 공간·인력이 한정된 탓에 각 수사 부서의 요청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이는 수사 장기화의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이런 현실에도 디지털 포렌식 절차에 대한 예산 확대는 쉽지 않으며 오히려 줄고 있다. 2020년 디지털 포렌식 관련 예산(첨단범죄 및 디지털수사)은 125억3800만원이었으나 2023년에는 97억7400만원으로 21.9% 급감했다. 올해 디지털 포렌식 예산도 녹록지 않은 상황인데 내년에는 더욱 암담하다. 해당 항목이 포함된 내년도 특정업무경비(특경비)가 야당의 주도로 전액 삭감됐기 때문이다.
|
이어 “음주운전 범죄를 자동차로 저지르듯 금융·증권범죄는 모바일뱅킹과 홈 트레이딩 시스템(HTS) 등 기술 발달로 대부분 스마트폰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며 “정작 스마트폰에서 증거를 뽑아내는 디지털 포렌식은 한 번 의뢰하면 많은 시간이 걸리고 있어 관련 장비와 인력이 확충돼야만 신속한 수사로 범죄자들을 일벌백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투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관련 범죄도 더욱 늘고 있는 상황이라 명확한 증거를 확보해 신속한 재판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관계기관의 공고한 협조체제 아래 발 빠른 증거확보, 치밀한 자금흐름 분석, 면밀한 법리검토 등 총력을 기울인 집중 조사가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라며 “금융·증권범죄 수사 및 엄단은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해서라도 꼭 필요한 사항으로 디지털 포렌식에 대한 인적자원 및 법령 재정비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