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전셋값 상승세가 가파르다. 특히 일부 역세권 단지나 새 아파트는 전세 계약을 체결할 때마다 이전 가격을 갈아치우며 ‘최고가’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서울 주요 단지 전셋값 ‘계단식 급등’
지난해 정부가 자율형사립고·특수목적고 폐지와 정시 확대 등의 교육개편방안을 밝히면서 한 차례 들썩였던 전세시장이 올해 들어서도 꺾이지 않고 릴레이 상승을 지속하고 있다. 정부의 고강도 대출 규제와 보유세 폭탄으로 집을 사지 않고 전세로 눌러앉는 세입자가 늘어난데다,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도입으로 분양가가 저렴한 일명 ‘로또 청약’ 기대감이 전세 수요를 자극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세가는 지난해 7월 첫째주 0.01% 상승으로 돌아선 이후 46주 연속 우상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누적 기준으로 지금껏 2.95%나 올랐고, 올해만 놓고 보면 0.91 % 상승했다. 이는 강남 4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를 필두로 서울 전역에 걸쳐 매매값이 내리막길을 걷는 것과 대조적이다.
|
입주물량이 많은 강동구조차 전세값이 견고하다. 고덕동 일대는 지난해 9월부터 ‘고덕그라시움’(4932가구), ‘고덕롯데캐슬베네루체’(1859가구), ‘고덕센트럴아이파크’(1745가구) 등 1만3000여가구가 한꺼번에 입주했는데도 전세 가격이 꺾이지 않고 되레 올랐다. 고덕그라시움과 고덕 롯데캐슬 베네루체는 지난해만 해도 전용 59㎡짜리 전셋값이 4억원대였지만 올 들어 5억원 중반에 전세계약이 이뤄졌고, 지금은 5억원 후반대를 호가한다.
새 아파트를 찾는 수요는 꾸준하지만 나오는 물량이 적다 보니 ‘신축은 입주 초기 주변 단지보다 전셋값이 싸다’는 통념을 깨는 곳도 나오고 있다. 올해 2월부터 입주한 마포구 신촌그랑자이(1248가구) 전용 84㎡짜리 아파트는 이달 초 주변 시세(6억~7억원)보다 1억원이나 높은 8억3000만원에 전세 계약이 이뤄졌다. 윤지해 부동산114책임연구원은 “일반적으로 대단지 새 아파트는 집주인이 잔금을 치르기 전 세입자를 빨리 구하기 위해 전세금을 낮추는 경우가 많지만 올해 들어 이러한 매물이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전·월세상한제 논의 가시화되나
서울 전세시장 불안이 커지면서 ‘전·월세 상한제’와 ‘계약갱신청구권’ 등 세입자 보호를 위한 주택 임대차 규제 도입 가능성도 제기된다. 전월세 상한제는 세입자가 재계약할 때 집주인이 기존 전세금을 5% 초과해 인상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고, 계약갱신청구권은 세입자의 최소 거주 기간을 기존 2년에서 4년으로 보장하는 것이다.
해당 법안은 사실상 패키지로 묶여 있는 임대차보호법 개정 사안으로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기도 하다. 특히 지난 4월 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정부와 정책 기조 합을 맞추는 여당이 압승하면서 정부 정책에도 힘이 실릴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 랩장은 “전셋값 상승세는 매매값을 떠받치는 구조로 이어져 집값 불안 요인이 될 수 있다”면서도 “다만 주택 임대차 규제 도입 시 단기간에 임대료가 급상승할 수 있어 하반기 변화 추이를 더 지켜본 뒤 논의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