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케이뱅크가 우려하는 점은 상장 비교그룹의 주가다. 상장준비 중인 기업은 상대가치 평가 방법을 통해 적정 주가를 산정한다. 유사한 사업을 다루는 비교그룹의 주가 흐름과 재무 상태가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최근까지 카카오뱅크의 주가는 부진하다. 상장 당시 카카오뱅크의 주가순자산비율(PBR)은 7.3배에 달했지만 지난해 말 기준 PBR은 1.56배로 80% 가까이 줄었다. 9만 4400원까지 올랐던 카카오뱅크의 주가는 1만 5800원까지 하락했다가 2만원대를 유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케이뱅크의 기업가치가 덩달아 저평가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최근 카카오 창업자인 김범수 경영쇄신위원장이 구속되면서 케이뱅크의 대주주 사법 리스크 여부에 대한 시장의 시선도 쏠린다. 케이뱅크의 최대주주는 34%의 지분을 가진 KT계열사 BC카드다. 산업자본인 카카오와 성격이 달라 오너 리스크에 따른 주가 하락 가능성이 낮다고 케이뱅크 측은 설명한다.
최근 시행한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도 케이뱅크 수익을 악화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가상자산 거래소인 업비트는 예치금 이용료율을 2.1%로 공지했다. 이전까지 케이뱅크가 업비트에 지급하던 이용료율은 0.1%인데 20배 이상이나 폭등한 것이다. 1분기 기준 업비트의 예치금은 6조 3222억원이다. 케이뱅크가 부담해야 할 이자 비용을 1분기 기준으로 단순 계산해보면 1323억원에 달한다. 1분기 케이뱅크의 순이익인 507억원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순이익의 2.5배 이상을 이자 비용으로 건네야 한다.
이용료율이 추가로 높아질 가능성도 있다. 빗썸은 지난 23일 기존 2.2%로 공지했던 이용료율을 4.0%로 상향한다고 공지했다가 철회했다. 고객 유치를 위해 이용료율 경쟁을 벌이는 거래소 때문에 케이뱅크의 수익성 부담이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올해 연간 기대 수익과 거래소의 예치금 현황·추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이용료율을 결정한 것으로 현재 수준은 충분히 감당할 수 있다”며 “올해 안에 상장하겠다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