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 은행권에 따르면 5대 은행의 지난 2월 정기예금 잔액은 전월보다 23조 6316억원 늘어난 886조 2501억원으로 집계됐다. 5대 은행 정기예금이 한 달 동안 20조원 넘게 불어난 건 지난 2022년 10월 이후 약 16개월 만이다. 5대 은행의 정기예금 잔액은 지난해 12월 849조 2957억원으로 전달보다 19조 4412억원 줄었으나, 올해 들어 지난 1월 13조 3228억원 느는 등 두 달 연속 늘었다. 증가액이 전달과 비교하면 10조원 이상 많다.
월별 정기예금 잔액이 급증한 것은 하락세인 주요 은행 예금 금리가 더 낮아지기 전에 ‘막차’를 타려는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작년 11월부터 연말까지 미국의 기준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며 주요 은행들은 예금 금리를 빠르게 내렸다. 최근 금리 인하 기대감이 한풀 꺾이며 예금 금리는 3% 중반에 머물러 있는 상태지만, 시기가 뒤로 밀리더라도 금리는 내려갈 전망이다.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4대 은행의 1년 만기 정기 예금 대표 상품 금리는 연 3.55% 수준이다. 인터넷은행인 카카오뱅크는 연 3.5%, 케이뱅크는 연 3.6% 정도다.
2년 만기가 돌아온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도 정기예금을 택한 수요가 많았다. 정부는 청년도약계좌 연계 가입을 밀고 있지만 만기와 금리 등으로 예금을 선택하는 이들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은행도 만기 자금을 유치하기 위한 경쟁을 벌이기도 했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청년희망적금 만기로 빠진 자금 중 약 6조원 가량이 거치식 예금으로 들어왔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은행들이 홍콩H지수 연계 ELS 대규모 손실 사태로 한때 ‘국민 재테크 상품’이라 불렸던 ELS 판매를 중단한 영향도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ELS는 예금보다 높은 금리에 6개월 조기 상환 매력으로 꾸준히 주목받아 왔지만 최근 H지수 ELS의 대규모 손실로 파생투자 상품 가입 자체가 위축된 분위기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ELS 대안으로 예금 니즈도 많다”며 “예금 금리가 떨어졌다고 해도 3% 중반이라 (고객들이) 괜찮다고 여기는 편이다”고 말했다.
정기예금과 더불어 신규 투자처를 찾지 못한 대기성 자금인 요구불예금이 23조원 가량 불어났다. 2월 5대 은행의 요구불예금 잔액은 614조 2656억원으로 집계됐다. 한 달 새 23조 5536억원 증가한 것이다. 요구불예금은 보통 예금 등 언제든 찾아갈 수 있는 예금이다. 일각에선 이 자금이 최근 무섭게 오르고 있는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 시장으로 이동할 가능성도 나온다. 자신만 뒤처지는 듯한 두려움에 추격 매수하는 ‘포모(FOMO·소외 불안감)’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지난 5일 비트코인 가격은 한때 6만 8000달러를 넘어서면 역대 최고가인 6만 9000달러에 바짝 다가섰다가 다시 하락했다. 한화 기준 1억원을 돌파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