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전성 높여라…저축銀 부실채권 매각 본격화

정두리 기자I 2024.03.06 06:00:00

중앙회, 자산유동화 방식 공동매각 수요조사
개인·개인사업자까지 포함…매각 채널 확대
2분기 본입찰…채권 규모 1000억 이상 예상

[이데일리 정두리 기자] 저축은행 개인사업자 연체채권을 새출발기금 외 기관에도 매각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올 상반기 개인사업자 연체채권 매각 행보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지난해 말 1000억원 규모 개인 무담보 부실채권을 털어낸 데 이어 올해도 연체채권 정리 활성화로 저축은행의 건전성이 제고될지 관심이 쏠린다.

[이데일리 김일환 기자]
5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저축은행중앙회는 79개 회원사를 대상으로 올 상반기 중 자산유동화 방식 공동매각 추진과 관련해 매각 희망 대상채권 규모 등 사전 수요조사에 나섰다. 대상채권 유형은 개인 무담보대출, 개인사업자 무담보·담보대출 등이다.

앞서 금융위원회는 저축은행 연체채권 관리 개선 방안의 하나로 개인 사업자 연체 채권 매각 채널도 새출발기금 외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와 부실채권 전문 투자회사(NPL투자사)까지 늘렸다. 새출발기금으로 매각 채널을 제한하면 과잉 추심으로부터 차주를 보호하고 채무조정 기회를 보장할 수 있지만 금융기관의 원활한 연체율 관리가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저축은행업권 연체율은 지난 2022년 말 3.41%에서 지난해 6월 5.33%, 9월 6.15%까지 크게 뛰었다. 특히 20022년 하반기 이후 저축은행 여신 연체율은 법인과 개인사업자 대출의 연체율이 상승함에 따라 큰 폭으로 상승했다. 이는 고금리 기조가 장기간 이어진데다가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여파와 개인사업자 연체채권의 매각 채널이 제한적인 영향이 컸다는 지적이다.

이에 지난해 12월 저축은행중앙회는 12개 저축은행의 1000억원 규모 부실 채권을 NPL투자회사인 우리금융F&I에 매각했다. 캠코 매입률표 기준 매각가보다 30% 높은 수준이었다. 이어 금융지주 계열 8개 저축은행(BNK·IBK·KB·NH·신한·우리금융·하나·한국투자)은 오는 1분기 중 최대 1500억원의 부실채권을 매각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처럼 부실채권 공동 매각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지금까지는 매각 대상이 되는 부실채권은 대부분 개인 무담보 대출이었으나 이번에 개인사업자 연체채권까지 매각할 수 있게 되면서 업계 건전성 관리는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중앙회는 수요조사가 끝나는 대로 2분기 중 본입찰을 진행할 예정이다. 채권 규모는 지난해 1000억원 수준보다 더 높으리라 예상한다. 저축은행업계 한 관계자는 “중소형 저축은행은 NPL투자사에 직접 접촉하고 매각을 위한 가격 적정성을 살필 인프라가 부족하다”며 “대형 저축은행을 비롯해 연체채권 매각 규모가 적은 중소 저축은행도 공동매각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준태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최근 정부는 저축은행의 연체채권 매각채널을 확대했는데 이는 취약차주에 대한 포용적 금융을 제공하는 동시에 저축은행 연체율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며 “앞으로 채무조정이 임시적 조치에 그치지 않기 위해서는 취약차주의 경제적 자립을 돕는 노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사진=연합뉴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