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한 고위인사는 최근 한종희 삼성전자 대표이사의 대형 인수합병(M&A) 시사 발언을 두고 이렇게 말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2017년 전장 자회사 하만을 인수한 이후 7년째 이렇다 할 빅딜이 없었는데 왜 매번 대형 M&A 발언을 하느냐’고 기자가 묻자 이 인사는 “삼성전자 정도의 회사가 언급하는데도 시장은 이제 원론적인 발언으로 치부하는 것 같다”고 했다. 한 부회장은 최근 3년 연속으로 세계 최대 전자·IT 전시회 CES에서 M&A 가능성을 거론했으나 재계와 시장의 반응은 뜨뜻미지근하다.
이 고위인사는 그보다 M&A 정체기가 이재용 회장의 사법 리스크와 정확하게 겹쳐 있다는 점을 주목했다. 이 회장은 2016년 국정농단 사태 이후 소송전에 휘말렸다. 이 인사는 “오너가 법원에 출근하다시피 하면 경영 정상화는 요원하다”고 했다. 이 회장은 2022년 회장 취임일과 지난해 취임 1주년 때 모두 법원에 출석했을 정도로 일정의 최우선을 재판에 맞추고 있다.
|
◇26일 1심 판결 앞두고 재계 긴장감
삼성 안팎에서 이 회장의 사법 리스크를 둘러싸고 다시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추후 삼성전자의 공격 경영 여부를 가를 수 있는 중요한 재판이 코앞으로 다가왔기 때문이다.
18일 재계, 법조계 등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 25-2부는 오는 26일 자본시장법 위반 등 혐의를 받는 이 회장을 비롯한 삼성그룹 전현직 임직원·외부감사인 14명에게 1심 판결을 선고한다.
검찰은 2015년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전후 회계부정 등이 발생했다며 2020년 9월 관련자들을 재판에 넘기고 지난해 11월 이 회장에 대해 징역 5년과 벌금 5억원을 구형했다. 재계 일각에서는 이 회장에 대한 집행유예 가능성까지 거론하지만, 복합적인 요인들이 판결에 반영될 수 있어 결과를 예단하기 어렵다. 만에 하나 이 회장에게 유리한 판결이 나오더라도 검찰이 불복하면 다시 확정 판결까지 수년이 걸릴 수 있다. 삼성이 2016년 이후 10년 넘게 사법 리스크에 노출될 수 있다는 뜻이다.
재계가 우려하는 것은 이 지점이다. 인공지능(A) 전환기를 맞아 ‘모든 책임을 내가 진다’는 식의 선제적인 결단을 누군가 내려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이 회장 외에는 삼성 내에 그런 인물이 없기 때문이다. 삼성이 1980년대 반도체 진입 결단 등 산업 전환기 때마다 기회를 잡고 급성장한 것은 오너의 판단이 주효했다는 평가다.
◇“수십조 빅딜, 오너가 결단하는 것”
그런데 지금은 사법 리스크 탓에 상황이 그렇지 않다. AI, 핀테크, 디지털 헬스, 로봇, 전장 등에 대한 소규모 투자 정도만 이뤄지고 있을 뿐 조단위의 초대형 M&A는 사실상 ‘올스톱’ 상태다. 삼성은 지난해 8월 삼성바이오에피스가 미국 바이오젠 바이오시밀러사업부 인수에 나섰지만 지금까지 가시적인 진전이 있지는 않다. 또 다른 재계 관계자는 “수십조원 단위의 딜은 최고경영자(CEO)선에서 내릴 수 있는 결정이 아니다”고 했다. 이 회장이 연초 등에 별도의 메시지를 내지 않고 있는 것도 사법 리스크와 관련이 있다.
이 회장이 재판 부담 때문에 국내에 발이 묶여 있다는 점 역시 문제다. 이 회장이 지난해 5월 공판 일정을 감안해 미국에 무려 22일간 머문 게 대표적이다. 해외 출장을 갈 수 있는 기간을 최대한 맞춰서 일론 머스크, 젠슨 황 등 굴지의 CEO 20여명을 몰아서 만난 것이다. 이 회장은 올해 CES 역시 가지 않았다. 그 대신 서울 서초구에 있는 삼성리서치를 찾아 연구개발(R&D) 현장을 살폈다. 26일 1심 판결을 앞두고 해외 출장은 부담이 됐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재계 일각에서는 AI 전환기 때 삼성이 주춤하는 것은 한국 경제 전반과 직결돼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반도체 경기가 살아나면서 삼성전자의 실적 기대감이 커지자 올해 경기 회복 기대감이 커질 정도로 삼성이 차지하는 비중은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