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정치탐구생활] 文대통령 지지율 71% 어떻게 볼 것인가

김성곤 기자I 2020.05.11 06:00:00

1년 10개월 만에 ‘꿈의 지지율’ 70%대 복귀
긍정평가 이유 절반 이상이 ‘코로나19 대처’ 꼽아
역대 대통령 취임 3주년 지지율 중 최고치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오전 청와대 춘추관에서 취임 3주년 대국민 특별연설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김성곤 기자] ‘지지율은 신경 쓰지 않는다’는 정치인의 말은 대개 거짓말이다. 물론 겉으로는 크게 내색하지 않는다. 속내는 다르다. 예상보다 좋으면 쾌재를 부른다. 기대 이하로 나타나면 불편한 심경을 숨기지 않는다. 지지율은 시중 여론을 체크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수단이다. 게다가 주간 단위로 정기적인 여론조사 결과도 쉴 새 없이 쏟아진다. △현직 대통령 지지율 △주요 정당 지지율 △차기 주자 지지율이 최대 관심사다.

여론조사 결과가 나오면 늘 시끄럽다. 해당 지지율을 바라보는 정치인의 반응은 크게 두 가지다. 지지율이 높아도 “일희일비하지 않는다”고 언급한다. 일종의 표정관리다. 높은 지지율에 취해 오만하게 비치는 걸 경계하기 위해서다. 지지율이 낮으면 공정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뭔가 잘못됐다는 것이다. 특히 “실제 여론은 다르다”며 엉터리 여론조사라는 프레임까지 씌운다. 이유야 어찌 됐든 지지율은 현실정치에 막강한 영향력을 미친다.

◇취임 3주년 지지율 71%…세대별·지역별·정치성향별 긍정평가 ‘압도’

문재인 대통령의 취임 3주년 지지율이 화제다. 한국갤럽의 5월 1주차 조사에서 무려 71%가 나왔다. 거짓말 같은 지지율이다. 87년 체제 이후 역대 어떤 대통령도 달성하지 못한 꿈의 수치다. 대통령 지지율 71%는 예상치 못한 초대형 악재로 지지율 10% 포인트가 떨어져도 60%선이 유지된다는 것이다. 그만큼 높은 수준이다. 10% 포인트가 더 떨어져도 50% 이상이다. 다시 말해 임기 후반기 결정적 실책만 없다면 레임덕 없는 대통령도 가능한 수치다. 뒤집어서 말하면 성공한 대통령으로 퇴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고도 볼 수 있다. 올초 문 대통령의 지지율은 40%대 초중반 박스권이었다. 지지율은 3월초를 기점으로 상승세를 탔다. 3월 2주차에 긍정평가가 부정평가를 뛰어넘더니 차례로 50%·60% 돌파에 이어 70%의 벽마저 넘었다. 지지율 71%가 나온 5월 1주차 부정평가는 고작 21%다. 긍정평가가 부정평가의 3배가 넘는 수치다.

세대·지역·정치성향별로 뜯어보면 더할 나위가 없다. 세대별로는 모든 연령대에서 긍정평가가 압도적이었다. 20대 이하(66% vs 21%) 30대(77% vs 17%) 40(85% vs 12%) 50대(68% vs 25%) 60대 이상(64% vs 26%). 특히 30·40대의 경우 긍정평가가 80% 안팎인 것은 물론 부정평가도 10%대에 불과했다. 지역별로도 부산·울산·경남(54% vs 31%) 대구·경북(53% vs 30%)지역을 제외하고 △수도권(75% vs 19%) △충청권(70% vs 23%) △호남권(92% vs 2%) 모두 70% 이상이었다. 정치성향별로도 진보(91% vs 7%) 및 중도(69% vs 21%)층에서 긍정평가가 압도했다. 보수층(46% vs 44%) 역시 긍정평가가 소폭 우세했다.

◇71% 지지율 역대 대통령 최고치…‘코로나19 대처’ 긍정평가 이유

문 대통령 지지율이 70%를 넘어선 것은 지난 2018년 7월 이후 1년 10개월만이다. 지방선거 압승 및 북미정상회담의 여파였다. 이후 줄곧 하락하다가 9월 평양 3차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60%선을 반짝 회복했을 뿐 대부분은 50%를 밑돌았다. 평균 지지율은 45% 정도였다. 역대 대통령의 경우 임기 후반으로 갈수록 지지율은 하락세로 접어들었다. 이런 점에서 문 대통령의 지지율 71%는 매우 이례적이다. 특히 역대 대통령 취임 3주년 지지율을 비교하면 그야말로 놀라울 따름이다.



대통령 지지율 고공행진의 이유는 뭘까? 무엇보다 코로나19 사태를 빼놓을 수 없다. 실제 한국갤럽의 5월 1주차 조사에서 대통령 긍정평가 이유로 절반 이상이 ‘코로나19 대처(53%)’를 선택했다. 다만 ‘코로나19 대처’는 불안 요인이 남아있다. 이태원클럽발 집단감염의 여파로 재확산 가능성이 우려된다. 코로나 이슈만으로 문 대통령의 지지율 상승세를 설명하는 건 뭔가 부족하다. 21대 총선 대승의 여파일까? 고개를 끄덕거릴 수 있다. 다만 총선 이후 여권발 대형 악재도 적지 않았다. △오거돈 전 부산시장의 성추문 논란과 시장직 사퇴 △양정숙 더불어시민당 비례대표 당선인의 부동산 관련 의혹 등이 대표적이다.

◇통합당의 자중지란과 문재인 대통령의 야당복

문 대통령의 지지율 고공행진을 뒷받침할 또하나의 유력한 근거는 야당의 자중지란과 몰락이다. 한마디로 문 대통령의 야당복이라는 거다. 실제 총선 참패 이후 미래통합당이 보여준 모습은 아연실색할 노릇이다. 황교안 전 대표 사퇴 이후 지도부 공백사태가 한 달 가까이 이어지고 있다. 대안으로 거론됐던 김종인 비대위 체제는 여전히 안갯속이다. 게다가 ‘총선=부정선거’라는 황당한 주장도 끊이지 않고 있다. 그야말로 되는 것도, 안되는 것도 없는 상황이다.

10일 오전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문재인 대통령 취임 3주년 대국민 특별연설을 시청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통합당의 현 상황은 한국갤럽의 5월 1주차 정당 지지율 조사에서도 명확하게 드러난다. 민주당 46%, 무당층 22%, 통합당 17%, 정의당 7%, 열린민주당 4%, 국민의당 3% 등의 순이다. 지지율 17%는 올해 2월 통합당 출범 이래 최저치다. 민주당과는 3배 가까이 차이가 난다. 통합당의 전신인 자유한국당이 지난해 10월 조국사태 당시 27%까지 올랐던 점에서 10%포인트 하락한 것이다. 참고로 통합당의 옛 전신인 새누리당의 경우 2015년 한 해 평균 지지도는 41%였다. 이어 2016년 1월부터 20대 총선 직전까지 평균 39%, 총선 이후인 4월부터 그해 10월 1주차까지 평균 31%를 각각 기록했다. 팽팽했던 정치지형이 불과 몇 년새 진보 우위의 지형으로 완전히 바뀐 것이다.

세부지표는 더 최악이다. 전국 평균 지지율 17%를 상회하는 지역은 대구·경북(34%)과 부산·울산·경남(24%) 지역뿐이다. ‘영남 자민련’이라는 표현마저 어색하지 않다. 연령별로는 50대(21%)와 60대 이상(28%)에서 간신히 20%를 넘겼다. 40대 이하에서는 10% 안팎에 불과했다. 외연 확장이 필요한 중도층의 경우 고작 11%의 지지를 얻는데 그쳤다. 정리하면 총체적 난국이다.

최대 난제는 통합당의 ‘불임정당’ 전락이다. 현재권력인 대통령과 대척점에 설 수 있는 미래권력인 차기주자들이 전무하다. 보수진영 부동의 1순위 주자였던 황교안 전 대표는 총선 참패로 정계은퇴 상황이나 마찬가지다. 오세훈 전 서울시장 역시 총선패배로 동력을 잃었다. 총선에서 기사회생한 홍준표 전 자유한국당 대표의 경우 당 안팎의 피로감이 적지 않다. 유승민 전 의원의 경우 “절대 불가”를 외치는 비토세력이 적잖다. 정당의 존재 목적이 집권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통합당의 미래는 암울 그 자체다. 역설적으로 문 대통령의 지지율 등락은 통합당의 쇄신 및 부활과 가장 크게 맞닿아있는 문제로 여겨진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