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생생확대경] 탄핵의 방아쇠를 당길 때 보수는 왜 동참했나?

김성곤 기자I 2018.10.02 06:00:01

보수, 20대 총선 자멸 이후 그해 가을부터 본격적인 몰락의 길
탄핵, 분당, 대선·지방선거 패배로 이어지는 끝없는 막장드라마
보수의 위기는 현재진행형…文정부 악재에도 반사이익 전혀 없어

지난 8월 20일 오전 경기도 과천 공무원 인재개발원에서 열린 ‘2018 자유한국당 국회의원 연찬회’에서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과 김성태 원내대표 등 참석자들이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김성곤 기자]꽤 오래 전 일처럼 느껴지지만 2년 전 이맘때였다. 20대 총선에서 ‘공천파동’이라는 자충수로 자멸했던 보수는 그해 가을부터 본격적인 몰락의 길을 걸었다. ‘최순실게이트’ 이후 탄핵, 분당, 자중지란과 끝없는 공방, 대선 패배, 지방선거 참패로 이어지는 막장 드라마를 선보였다. ‘만신창이’ 보수의 몰락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유일한 탈출구는 과거에 대한 반성과 성찰이다. 딱한 것은 오직 보수만이 그 단순한 진실을 모른다는 것이다.

돌이켜보면 한 편의 코미디였다. 2016년 9월 야당 단독의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해임건의안 통과로 국회는 난장판이 됐다. 자유한국당의 전신이었던 새누리당은 정세균 국회의장 사퇴를 촉구했다. 이정현 대표는 국정감사 보이콧과 무기한 단식을 선언했지만 오래 가지 않았다. 여기까지는 정기국회 때마다 되풀이되는 여야의 정치공방인 줄로만 알았다. 문제는 그 이후였다. ‘비선실세’ 최순실 국정농단 파문이 걷잡을 수 없이 커졌다. 대통령이 최순실의 ‘아바타’에 불과했다는 사실에 온국민이 경악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개헌카드를 던졌지만 여론은 더 들끓었다. 대국민담화를 3차례 발표하고 김병준 국무총리 카드까지 제시했다. 성난 민심을 잠재우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철옹성으로 불린 콘크리트 지지율은 5%까지 추락했다. 광장의 촛불은 혁명을 잉태했다. 새누리당에서 “촛불은 바람이 불면 다 꺼진다”고 장담했지만 상황은 정반대였다. 촛불은 횃불로 타올랐다. ‘대통령 하야’를 외치는 민심이 대한민국을 휩쓸었다.

박 전 대통령은 절체절명의 정치적 위기에 내몰렸다. 다만 탄핵 현실화로 대통령이 중도하차할 것이라고 예상한 이는 드물었다. 참여정부 시절 탄핵역풍에 따른 학습효과였다. ‘4월 퇴진·6월 대선’이라는 정치적 해법도 나왔다. 촛불민심은 머뭇거리는 여의도를 금방이라도 점령할 기세였다. 12월 9일 마침내 대통령 탄핵안이 국회를 통과했다. 찬성은 무려 234표였다. 새누리당 의원이 60명 이상 동참했기 때문에 가능한 수치였다. 80%에 육박하는 시중의 탄핵 찬성여론과 비슷했다. 애초 최순실청문회에서 가장 활약한 인사들도 새누리당 비주류 의원들이었다. 보수가 방아쇠를 당기지 않았다면 탄핵은 없었다. 19대 대선은 지난해 5월이 아닌 12월이었을 것이다.

보수의 탄핵동참은 묘한(?) 자신감의 발로였다. ‘문재인·안철수 단일화는 불가능한 만큼 반기문 카드로 역전이 가능하다’는 계산이었다. 이후 전개는 모두 아는 대로다. 반기문의 중도하차로 보수의 기대는 물거품이 됐다. 2017년 3월 10일 헌법재판소의 만장일치 탄핵 인용으로 상황은 더 어려워졌다. 홍준표·유승민은 대선승리가 아니라 대선 이후 보수의 주도권을 놓고 싸웠다. “새누리당은 회생 불능”이라며 바른정당에 몸담았던 상당수 의원들이 대선 직전 한국당에 복당한 것도 정당정치의 근간을 뒤흔드는 꼴불견이었다.

보수정당의 상황은 문재인정부 출범 이후 더 처참하다. 6월 지방선거에서는 사상 최악의 참패를 당했다. 되는 것도 안되는 것도 없는 묘한 상황이다. 현 정부의 부동산·경제정책 난맥상에도 반사이익을 전혀 누리지 못하고 있다. 보수의 궁색한 처지는 참여정부 시절 “교육부총리 자격이 전혀 없다”며 낙마시켰던 김병준 국민대 교수를 비대위원장으로 영입한 것에서 잘 드러난다.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보수 내부에서는 혁신의 지휘자를 구할 수 없다는 자기고백이다.

도대체 무엇이 어디에서부터 잘못된 걸까? 고통스럽게 탄핵의 방아쇠를 당길 때 ‘보수혁신’을 강조했던 초심으로 돌아갈 수는 없을까? 보수 부활의 출발은 그 지점이어야 한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