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지가 5일 부동산 전문가 8명으로 대상으로 올해 하반기 부동산 시장 전망을 묻은 결과 응답한 전문가 모두가 6·19 대책과 금리 인상 가능성 등으로 서울지역 집값 상승세는 다소 둔화되겠지만 상승 혹은 강보합세를 보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여름 휴가철이 지나고 가을 이사철이 다가오면 주택 거래가 차츰 살아나고 신규 분양시장 열기도 한층 달아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지방 주택시장은 입주 물량 증가와 금리 상승 가능성, 정부의 추가 부동산 규제 등 ‘3대 악재’의 직격탄을 맞아 거래 침체와 가격 하락을 면치 못할 것으로 전망됐다.
실제로 정부가 6·19 대책을 발표한 지난달 전국 주택 매맷값은 서울·수도권은 상승폭이 확대된 반면 지방 일부 지역은 지역경기 침체와 입주 물량 부담으로 약세를 면치 못했다. KB국민은행이 조사한 ‘월간 KB주택가격 동향’에 따르면 6월 주택 매맷값은 수도권이 0.32% 올라 전월(0.10%) 대비 상승폭이 확대됐다. 서울은 0.55%나 올랐다. 반면 지방은 전월(-0.04%)에 이어 0.05% 떨어지며 7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부동산시장 과열의 주범인 서울 강남권 재건축 단지의 경우 정부 규제 이후 거래량이 줄고 관망세가 유지되고 있지만 내년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가 본격 시행되기 전까지는 가격이 크게 하락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다. 김규정 NH투자증권 부동산전문위원은 “강남 재건축 추진 단지를 잡으면 향후 몇 년 안에 최고 입지에 있는 새 아파트로 입성할 수 있다는 메리트를 안고 있다”며 “재건축 아파트값이 조정을 받으면 언제든지 매수에 나서려는 대기 수요가 여전히 많다”고 말했다.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지난 4일 경제현안 간담회에서 “6·19 대책 발표 이후 시장 상황이 조금이나마 과열이 진정되는 모습을 보여서 다행”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저금리로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시중 유동자금이 과거 정부 규제의 학습효과로 언제든 부동산 시장으로 유입돼 과열을 야기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럴 경우 정부는 강력한 추가 규제를 내놓을 가능성이 크다.
허윤경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올 하반기 가계부채 종합대책과 세제 개편 논의 등 정책 리스크가 단기적으로 시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서도 “금리 인상 가능성에도 여전히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고 있는 국내 경기도 회복세를 보이고 있어 부동산 시장이 받는 충격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