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매출은 10억원 정도 올리고 있다. 국산 사료를 쓰면서 가격 경쟁력을 높이고 체세포수·세균 등 품질 관리에 노력 중이며 ‘깨끗한 목장’ 인증도 받았다.”(이차승 한승목장 대표)
구직에 여념이 없거나 사회 초년생인 동년배와 달리 일찌감치 농촌에 정착해 활발히 활동하는 20대 청년 농사꾼이 있다. 코로나19로 취업난이 심각한 상황에서도 연간 수억원대 매출을 올리며 농업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다.
|
전북 완주군에서 젖소 농장인 한승목장을 운영 중인 이차승 대표(29세)는 아버지로부터 농장을 물려받은 후계농이지만 최근 확장 이전을 하면서 사실상 재창업의 과정을 겪었다.
약 200마리의 젖소를 관리하며 매일 우유를 짜고(착유) 지역 우유업체에 납품하고 있다. 농장 이전으로 투자비가 많이 들어간 상태지만 안정적인 매출을 올리고 있으며 앞으로 유가공 사업 진출을 위해 추가 투자도 염두에 두고 있다.
김제시에서 다육식물도매업을 운영 중인 문현미 대표(26세)는 부모가 운영하던 다육식물 화원을 아예 재배·판매농장으로 크게 키워 창업했다. 문 대표는 농업 특성화학교인 김제농생명마이스터고등학교와 농수산대 화훼학과를 나올 만큼 어릴 때부터 화훼 경영에 대한 의지가 높았다.
농경지에 있는 센터는 많게는 하루 수백명의 방문객이 다녀간다. 문 대표는 “따로 홍보하지 않는데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20대부터 70대까지 다양한 연령대 손님들이 많이 찾는 편”이라며 “연초에는 일본에서도 다녀갔고 미국으로 배송을 보내는 고객도 있다”고 전했다.
|
이전 농장주가 감에 의존해 목장을 운영했다면 이 대표는 착유 관리나 발정, 분만 등을 통합 관리하는 전산 시스템을 이용하는 등 컴퓨터 활용도를 늘렸다. 착유는 항생제나 잔류물질이 티끌만큼만 들어가도 상품화할 수 없는 만큼 전자장비의 도움을 받아 관리하고 있다.
현재 한승목장은 체세포수 평균 2등급, 세균수 1A 등급의 농장이다. 2018년에는 한국낙농육우협회 주관 깨끗한 목장 가꾸기 운동에서 우수목장(장려상)에 선정되기도 했다.
가격 경쟁력을 키우는데도 고심하고 있다. 젖소에게 먹이를 줄 때 국산 조사료(목초, 건초, 옥수수, 파, 씨 있는 과일의 껍데기 등 섬유질이 많은 사료)를 사용하면서 원가를 절감하는 것이 대표 예다. 문 대표는 농수산대 실습 기간 중 호주에서 화훼 기술을 더 배울 기회가 있었다. 그는 “호주 호접란 농장에 가서 호접란뿐 아니라 선인장과 다육식물 등을 보고 많이 배웠다”며 “한국에 와서는 전문적으로 더 배우고 싶어 일산 다육식물선인장연구소에 들어가기도 했다”고 말했다.
올해 들어 코로나19에 따른 행사 축소 등으로 화훼업계가 어려움을 겪었지만 주로 개인이 사가는 다육식물은 큰 타격을 받지 않았다. 특히 이곳은 최저 1000원짜리 다육식물을 판매하는 곳으로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문 대표는 “올해 초 코로나19가 확산했을 때 잠깐 주춤했지만 이후 방문객들이 안전수칙을 지키면서 꾸준히 찾아오고 있다”며 “화훼학과 동기나 업계 사람을 만날 기회가 있는데 생화 쪽은 많이 힘들어하고 있다”고 전했다.
|
경영 노하우가 없는 ‘초보’ 농업인이다 보니 힘든 것도 사실이다. 이 대표는 경영 관리를 가장 큰 애로 사항으로 꼽았다. 그는 “사육 관리나 농장 운영 등은 학교에서도 배웠지만 세무나 법률 같은 현장의 경영 측면에서는 학교 교육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졸업생 대상 심화 교육 등을 운영하고 있는데 시간을 내 다시 들어야 하나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축산·낙농업은 초기 투자비용과 규제가 많아서 진입 장벽이 높은 편이다. 젊은 층들은 후계농 위주로 앞으로 나이가 많은 농장주들이 대거 은퇴하면 농장을 꾸릴 인력도 부족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 대표는 “아예 새로 농장을 지어 진입한다는 게 어려운데다 환경 규제도 강화하는 추세”라며 “폐업을 고려하는 농장에서 후계자들을 더 유입하도록 하는 환경 조성이 중요하다”고 제언했다.
문 대표는 화훼농가의 규모화와 경영 안정을 위한 정부 지원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쌀이나 다른 시설작물과 달리 화훼는 하우스를 확대하고 싶어도 지원이 적은 편이어서 규모화하기엔 자체 부담이 크다”며 “화훼 소비 활성화도 좋지만 초기 정착을 위한 지원이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청년농업인이 농촌에서 자연스럽게 거주하기 위한 환경 변화도 요청했다. 문 대표는 “전주 등 인근 도시와 달리 이곳 농촌에서는 오후 8시만 되면 불이 꺼지고 문화생활 하기에도 불편한 면이 있다”며 “헬스장이나 도서관, 음식점 같은 시설들이 더 늘어야 젊은 층 유입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본 기획물은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