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건물은 바이오벤처들에게 명당자리로 입소문이 자자하다. 이곳에 입주한 기업들 가운데 대박을 터뜨린 기업들이 많기 때문이다. 여기에 입주하려면 7대1이 넘는 치열한 경쟁률을 뚫어야 한다. 지금도 공실률이 제로다.”
이학성 대전테크노파크 바이오센터장은 현재까지 이곳을 거쳐 간 바이오기업 31개사 가운데 7개사가 코스닥에, 코넥스와 캐나다 증시에 각각 1개사씩 모두 9개사가 증시에 상장하는 쾌거를 일궈냈다고 귀띔했다. 여기에 대전 바이오센터 입주해있는 바이오벤처 11사가 가운데 올해 2개사가 추가로 코스닥 상장을 눈앞에 두고 있다. 이곳에 입주한 바이오벤처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대개 9년이 지나면 이곳을 떠난다.
이곳에 입주해 있는 바이오칩 분자진단 장비개발업체인 진시스템도 올해 코스닥 상장을 앞둔 벤처기업이다. 진시스템이 만드는 포터블 소형 분자진단 장비는 국내는 물론 미국·일본·중국·인도 등지로 팔려나간다. 이 회사는 이 진단장비로 지난 2003년 한국발명특허대전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수출증가에 힘입어 지난해 매출 4억원에서 올해는 20억원을 웃돌 것으로 보인다. 사업이 확장되면서 4년 전 입주 당시 직원이 4명에 불과했으나 이제는 30명으로 급증했다. 서유진 진시스템 대표는 “이곳 바이오센터에 입주하면서 누릴 수 있는 가장 큰 혜택은 우수의약품제조관리기준(GMP)에 맞게 제품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고가의 장비를 24시간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실제 지난 2015년 바이오센터 건물을 지을 때 들인 비용이 179억원인데 비해 GMP 관련장비 구입비는 이보다 더 많은 237억원에 달했다. 이학성 바이오센터장은 “바이오센터는 입주업체들의 편의를 위해 24시간 연중무휴로 직원이 상시근무하며 실험 및 생산장비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고 귀띔했다.
대덕 바이오클러스터는 대전특구연구단지를 중심으로 반경 8㎞에 걸쳐 포진해 있다. 이 클러스터에서만 바이오 벤처기업을 주축으로 700여 바이오 연관기업이 밀집해있다. 중앙백신, 케이맥, 콜마비엔에이치,지노믹트리, 바오오니아,젬백스앤카엘, 레고켐바이오 등이 대표적 입주업체다.
대덕 바이오클러스터에서 창출하는 고용규모는 2만명을 넘어선다. 지난해 이들 기업이 올린 매출만 1조8000억원에 달한 것으로 추산된다. 수출로 5억달러(5500억원)가량을 벌어들였다. 특히 수출은 지난 3년간 연평균 18% 이상 고속 성장을 거듭해왔다.
|
대덕 바이오클러스터에 집중적으로 바이오벤처들이 몰리다 보니 이제는 공장부지가 없어 주변부로 확장해 나가는 추세다. 이미 대덕특구연구단지 인근에 있는 신동, 둔곡지역에 새로운 산업단지가 형성되고 있다. 이미 12개 바이오벤처가 공장부지를 분양받아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입주를 시작한다. 이곳에만 30개 업체가 내년까지 새 둥지를 틀 것으로 예상한다.
대덕바이오 클러스터가 바이오기업들을 대거 끌어모을 수 있는 배경에는 무엇보다 대덕특구 내 위치한 다양한 연구시설과 대학교 등과의 산학연 시너지가 수월하다는 데 있다. 대덕특구에만 한국생명공학연구원,한국화학연구원,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한국표준과학연구원 등 41개 연구소가 모여 있다. 여기에 카이스트,충남대, 우송대 등 12개 대학이 바이오 관련 학과를 운영하면서 기업들에 양질의 전문인력을 공급해주고 있다.
2000년대 초 대덕연구단지 연구원들이 하나 둘 바이오벤처를 창업하면서 시작한 게 현재 대덕 바이오 클러스터의 모태다. 대덕 바이오클러스터 초창기에는 기업연구소 쪽에서는, 지금은 서울 강서구 마곡으로 이사를 하였지만 LG생명과학 연구소 출신들이 창업을 주로하면서 바이오 붐을 조성했다. 대전이 갖추고 있는 사통팔달 교통 인프라도 입주기업들에는 빼놓을 수 없는 대덕 바이오 클러스터의 강점이다.
대덕 바이오클러스터내에 다양한 바이오기업들이 밀집해 있다 보니 입주업체 간 정보교류의 장이 많은 점도 벤처기업들에게 큰 도움을 주고 있다. 이 클러스터 입주업체 55개사를 회원사로 두고 있는(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의 맹필재 회장은 “1년에 10여 차례 정기적으로 포럼, 세미나등을 열면서 회원사 간 정보를 공유하고 결속을 다진다”며 “협회 소속 회원사들이 지난해 투자를 받은 금액이 2500억원에 달할 정도로 회원사마다 일취월장을 하고있다”고 소개했다.
이 협회 회원사들끼리 자체적으로 34억원을 출자해 펀드를 조성해 신생 벤처 발굴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맹 회장은 “모임 때마다 회원사끼리 바이오 산업이 진화해가는 추세, 사업하면서 겪는 애로사항 등을 공유하면서 대안이나 해법을 모색하는 것이 사업에 큰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다.
대전광역시는 앞으로 대덕 바이오클러스터를 유전자 기반 바이오산업의 메카로 육성한다는 방침이어서 대덕 클러스터는 다시 한번 재도약의 기회를 맞고 있다. 대전광역시는 총 1400억원을 들여 이 클러스터에 유전자 의약산업진흥센터를 세운다는 구상이다. 올해 사업 타당성을 점검하고 중앙정부에 예산지원을 신청할 계획이다. 이 센터가 설립되면 유전자 의약분야에서 정부산하기관이 출범하는 최초사례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