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폭발하는 파이프…"남편 이승조의 원·한, 30년 만의 확장"

오현주 기자I 2020.08.10 03:30:02

국립현대미술관 '이승조 30주기 전'
원통 '파이프'로 기하추상 개척하고
예술본질 '핵'으로 조형성 극대화해
아내 고정자 "회고보다는 재조명…
예술혼 재수정하는 건 가치있는 일"

국립현대미술관이 과천관에 마련한 ‘이승조 30주기 회고전’에서 이 화백의 부인 고정자 여사가 남편의 대작 ‘핵 86-74’(1986∼1990·400×400㎝) 앞에 섰다. “1990년 남편이 타계한 이후 30년을 기다려온 국립현대미술관의 전시”라며 “회고전이라기보다 재조명전이라 생각한다”고 아내는 말했다(사진=오현주 문화전문기자).


[이데일리 오현주 문화전문기자] 소회는 담담했다. 한마디 한마디에서 뚝뚝 떨어지는, 떠난 이에 대한 그리움은 차마 감추지 못했지만. 잊히기도 하고 내려놓기도 하고 무뎌지기도 하고, 그런 게 세월이 아닌가. 그런데 그이의 시간은 마치 압정으로 눌러둔 사진처럼, 흐릿하면서도 선명하게 한 곳을 가리키고 있는 듯했다. “30년을 기다렸다. 남편의 전람회를 열어달라는 말을 처음 꺼낸 이후로. 그저 남편이라서가 아니다. 세계에 한국미술을 알리는 국립현대미술관의 계획에 적합한 작가란 확신이 있어서였다. 그이에게는 인간적으로 믿음이 있었지만 작품에 대한 믿음이 더 컸다.”

‘이승조: 도열하는 기둥’ 전이 열리고 있는 경기 과천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전시는 불꽃처럼 살다가 마흔아홉 아까운 나이에 세상을 떠난 이승조(1941∼1990) 화백의 30주기에 맞춘 회고전이다. 그 전시장에서 이 화백의 부인 고정자(72) 여사를 만난 건 우연이었다. 어찌 보면 누구도 기대하기 힘들었을 거다. 맞다. 그 세월이 얼만데. 그런데 그 세월에 ‘전업주부’였던 화백의 아내는 ‘이승조 전문가’가 돼 있었다. “회고전이라기보다 재조명전”이라고 말한 것도 아내였으니. “시대에 따라 예술혼을 재수정한다는 것은 가치있는 일”이라고도 했다. 그러면서 “코로나에 전시를 해야 하나 마음이 안 좋았지만, 결국 이렇게 힐링을 주는구나 싶다”며 “그만큼 남편의 작품은 ‘차가운 추상’이 아니다”라고 단호하게 말하기도 했다.

국립현대미술관 이승조 30주기 회고전 ‘도열하는 기둥’의 전경. 원통모양의 파이프를 내세운 철저하고 엄격한 조형구조는 이승조 회화의 가장 큰 특징으로 꼽힌다. 색면을 대비하고, 형태의 규칙성을 만들고, 계산에 의한 변주를 끊임없이 뽑아냈다(사진=오현주 문화전문기자).


이 화백은 한국의 기하추상을 만들고 이끈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 이전까지 아무도 보지도, 시도도 못한 추상세계를 창조해낸 건데. 이른바 ‘파이프’처럼 생긴 원통모양 단위를 소재 삼아 스스로 ‘핵’(核·nucleus)이라 칭한 기계미학적 회화를 빼냈던 거다. ‘차갑다’란 세간의 단정은 그래서 나왔다. 문명의 건조한 미래를 내다보는 듯했으니까.

이미 지난 6월에 예고됐던 전시는 코로나로 개막을 연기해오다 7월 초 온라인으로 먼저 공개됐다. 그러다가 이달 초 관람객 수를 제한하는 조건부 오프라인 개막을 한 상태. 이 화백이 스물일곱이던 1968년에 발표한 작품부터 타계하던 해인 1990년에 발표한 작품까지 90여점을 걸었다. 짧고 굵은 예술여정을 따라 오로지 하나의 연작 타이틀 ‘핵’으로 품어온 ‘이승조의 예술세계’를 비로소 집대성했다.

△‘파이프’ 기하추상으로 ‘국전’서 4회 수상하는 파란

1941년 평안북도 용천 출신. 1960년 홍익대 서양화과에 입학했다. 두각은 바로 나타냈다. 추상이란 말 대신 ‘전위미술’ ‘아방가르드’라 표현하던 1960년대 중·후반 그 선봉에 섰으니. 당시 홍익대 서양화과 60학번 동기들과 1962년 ‘오리진’이란 단체를 만든 게 시작이다. 일체의 주관적인 감정은 빼고 순수회화를 해보자고 의기투합했더랬다.

이승조의 초기작 ‘핵 10’(1968). 빨갛고 노랗고 파란 색의 띠로 밝은 면과 어두운 면의 확실한 대비를 만들어냈다. 파이프로 나아가는 여정의 기본이라 할 ‘색띠’가 탄생한 순간이라고 할까(사진=오현주 문화전문기자).


‘이승조’를 말할 때 빼놓지 않는 에피소드가 있다. “상을 타기도 어렵지만 안 타는 게 더 어렵다”는 유명한 말을 만들기도 했던 그 일화.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에서 1968년부터 1971년까지 연달아 4회를 수상하는 파란을 일으켰던 건데. 그것도 이전엔 단 한 차례도 없던 추상회화로 말이다. 보수적인 국전도 어쩔 수 없이 수상작으로 낼 만큼 탁월했다는 얘기다.

화백 스스로도 그랬듯, 전시의 시작점은 ‘색띠’다. 파이프로 나아가는 그 기본이 빨갛고 노랗고 파란 색의 띠였던 셈이다. 그 전형이라 할 ‘핵’(1968), ‘핵 10’(1968), ‘핵 77’(1968) 등이 전시장에 나란히 걸렸다. 이후 본격적으로 단순한 색감에 세련된 미감의 파이프가 등장하는데. 그중 푸른색 높낮이만으로 죽죽 뻗은 파이프를 전진시킨 두 작품이 눈길을 끈다. ‘핵 G-70’(1969)과 ‘핵 PM-76’(1969). 각각 ‘오리진 전’ ‘한국청년작가연립전’에 출품했던 두 작품은 그날 이후 50년 만에 처음 대중 앞에 나섰다.

이승조가 파이프로 완성해간 기하추상의 초기작 ‘핵 G-70’(1969). 이후부터 단순한 색감에 세련된 미감의 파이프가 본격적으로 등장한다. 50년 만에 처음 대중에게 공개된 작품이다(사진=오현주 문화전문기자).


이후 ‘파이프’는 춤을 추듯 다채로운 조형성을 폭발시키는데. 피스톨 모양으로 율동성을 드러내고(‘핵’ 1983, ‘핵 83-10’ 1983 등), 미니멀한 금속성의 투명한 사선 혹은 수직·수평선을 거쳐(‘핵 75-11’ 1975, ‘핵 82-23’ 1982 등), 반복과 변주를 통해 ‘음양 대치적 환원의 논리’로까지 퍼져나간다(‘핵 86-71’ 1986, ‘핵 87-99’ 1987 등). 푸르스름한 빛이 삐져나오는 블랙 화면이 쏟아진 것도 이 시기다(‘핵 78-20&21’ 1978, ‘핵 80-10’ 1980 등).

정점은 말년의 ‘대작’이 찍었다. 이제껏 화업을 총정리하려는 듯, 평생 놓지 않았던 파이프 형상을 가로·세로길이가 300∼400㎝에 달하는 대작에 작정한 듯 그어낸 거다(‘핵 90-10&11’ 1986∼1990, ‘핵’ 1987, ‘핵 86-74’ 1986, ‘핵 89-77’ 1989 등).

이승조의 ‘핵 87-99’(1987). 원통 이미지를 가로로 변주해 마치 입체작품인 듯한 착시효과를 만들어내고 있다. 엄격한 기하학적 추상의 정점을 찍은 200×400㎝ 규모의 대작이다(사진=국립현대미술관).


늘 모두를 궁금하게 했던 채색방법도 한번 짚고 가자. “어찌 저렇게 정교한 선과 면을 빼낼 수 있을까” 했던. 비법은 ‘마스킹테이프’였다. 테이프로 캔버스에 경계를 정한 뒤 납작한 평붓으로 그러데이션을 줬다는 거다. 금속성 광택은 사포질이 해냈단다. 색을 칠한 뒤 화면을 갈고 또 갈아 묘한 윤기를 내는 식이다.

△“남편의 원과 한은 작은 캔버스…끊임없이 확장하려 해”

전시에 나온 회화 90여점 중 절반 이상이 ‘유족 소장’이다. 다른 말로 이는 묵묵히 또 철저하게 작품을 지켜왔다는 뜻이다. 말이 쉽지 정말 ‘온 힘을 다 썼을’ 거고, 그 짐과 공은 화백의 아내에게 넘겨졌을 터다. “남편의 원과 한은 작은 캔버스였다. 100호(162×132㎝) 정도는 그이에게 소품이었으니. 끊임없이 확장해나가야 하는데 여건이 안됐다. 그저 시원하게 자기세계를 보여주고 싶었던 거다. 결국 집을 팔아 화실을 마련했다.” 이 화백 화업의 클라이맥스를 끌어낸 경기 안성 스튜디오를 말하는 거다. “1983년 한 평에 6000원 하던 땅을 사서 2000만원을 들여 마련했다”고 했다. 전시에 걸린 압도적인 대작은 모두 그 스튜디오에서 그려졌고, 그 스튜디오에서 옮겨졌다.

이승조 ‘핵 90-10&11’(1986∼1990). 길고 짧고, 움직이고 멈추고, 마치 파이프오르간이 연주하는 소리가 들리는 듯 율동미가 넘친다. 화면 자체에서 또 다른 공간감을 시도한 작품은 4년을 매달려 끝을 봤다(사진=오현주 문화전문기자).


30년, 그 이전도 그 이후도 아내의 기억 속 화백은 여전히 ‘모두에게 따뜻하고 아름다운 사람’ ‘21세기 화두를 미리 알았던 진취적인 사람’ ‘수학도 모르면서 속도와 확장성은 꿰뚫었던 사람’으로 남아 있다. “중간이 없었다. 블랙작품에 매진하던 때 어느 화랑 주인이 ‘색깔만 좀 쓰면 팔아줄게’ 했던 얘기도 귓등으로 넘겨버렸다. 모든 색을 합한 것이 블랙이라고. 밥도 제대로 못 먹을 때의 일이다. 그런데도 물감과 캔버스는 대한민국 최고를 썼다.”

‘부창부수’라 했던가. 그런 이 화백의 ‘고집스러운 행보’를 아내는 “가장 바람직한 작가의 태도”였다고 말한다. “최고의 작품은 최고의 재료에서 나오는 것”이라고. 그러곤 남편이 만든 최상의 작품을 아내는 최상의 상태로 지켜냈다. 상태만이 아니다. 팔아보자고 연락하는 숱한 갤러리의 유혹으로부터 ‘컬렉션을 보존’한 것도 그이였으니.

“환경미술에까지 나아가지 않았을까 싶다, 캔버스를 넘어서.” 살아 있었다면 이 화백의 작품세계가 어디쯤 닿아 있을까를 물었더니 돌아온 대답이었다. ‘이승조 전문가’의 혜안이니 믿어야 할 거다. 우린 최고의 환경미술가를 너무 일찍 잃은 거다. 전시는 10월 4일까지.

이승조 화백의 부인 고정자 여사는 “남편의 예술은 신앙같았다”며 “그리는 외에는 아무것에도 관심이 없었다”고 회고했다. 그렇게 최고의 퀄리티로 남은 작품을 지켜내는 것이 유족으로서의 할 일이 아니겠느냐며 “좋은 상태로 오래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바로 뒤로 남편 이승조의 작품 중 ‘핵 80-10’(1980)이 보인다(사진=오현주 문화전문기자).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