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사설] 여당 회의가 ‘어전회의’ 돼서는 안 된다

논설 위원I 2016.08.12 06:00:00
어제 오찬을 겸해 열린 새누리당 새 지도부와 청와대의 첫 상견례는 대화 내용 못지않게 회동 시점과 격식에 관심이 쏠린 특이한 자리였다. 박근혜 대통령은 여당 전당대회에서 새 지도부가 꾸려진 지 이틀 만에 이정현 대표를 청와대로 불러들여 그가 좋아하는 냉면으로 오찬을 함께한 후 독대도 했다. 마치 가족모임처럼 화기애애한 분위기였다고 한다.

김무성 전 대표 때와는 사뭇 달라진 대접이다. 박 대통령은 김 전 대표가 선출되고 두 달이 지나서야 첫 만남을 허락한 데다 회동 횟수도 2년 동안 한 손으로 꼽을 정도였다. 그나마도 늘 냉랭한 분위기였다. 어쨌든 이 대표 체제가 원만한 당·청 관계 회복과 박 대통령의 최대 약점인 ‘불통’ 해소에 기여한다면 쌍수를 들어 환영할 일이다.

(사진=연합뉴스)
문제는 격식이다. 대통령이 듣기 싫어하는 얘기도 가감 없이 전달해 국민의 가려운 곳을 시원하게 긁어 주는 게 집권당 대표의 역할이다. 뻔한 건의에 뻔한 수용 같은 짜고치기 방식은 안 통한다. 박 대통령과 이 대표가 과거처럼 주군-복심 관계로 머무르며 가족잔치 기분에 머물러선 안 된다는 얘기다.

자기 방식을 좀처럼 바꾸려 들지 않는 박 대통령이나 ‘그의 남자’임을 자처하는 이 대표에게 획기적 변화를 기대하는 건 무리일지 모른다. 이 대표가 주재한 첫 최고위원회의 작품이 발표창구를 당대표와 원내대표 및 대변인으로 제한한 ‘언로(言路) 봉쇄’라는 점이 그런 사례다. 최고위원들끼리 언성을 높이던 김 전 대표 시절의 ‘봉숭아 학당’을 지양한다지만 그때 당대표를 물어뜯던 최고위원의 한 명이 본인이었음을 벌써 잊었는가.

“대통령과 맞서는 것을 정의로 여긴다면 여당 의원 자격이 없다”는 주장 역시 올챙이 시절 모르는 개구리 노릇이다. 이명박 정부를 누구보다 앞장서서 몰아붙인 이가 바로 이 대표다. “권력에 줄서는 수직적 질서를 수평적 질서로 바꾸겠다”던 전당대회 출마변은 어느새 온데간데없고 ‘비박(非朴)에 재갈 물린 어전회의’, ‘내시 대표’ 등의 비아냥이 난무한다. 박 대통령에게도 책임이 없지 않다. 스스로 일개 계파 수장에 머무르려 한다면 정치가 실종되고 국민이 불행해지기 마련이다. ‘그들만의 리그’라고 외면받지 않으려면 비박은 물론 야당과도 소통하고 국민과 폭넓게 대화하려는 자세가 요긴하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