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 인 | 이 기사는 11월 11일 07시 48분 프리미엄 Market & Company 정보서비스 `마켓 인`에 출고된 기사입니다. |
[이데일리 권소현 기자] 모처럼 금리가 시원하게 내렸다. 미국 국채 시장이 시원치 않았다는 것 말고는 딱히 악재를 찾아보기 어려웠다. 그렇다고 호재가 있었던 것도 아니지만, 금리가 그동안 많이 올랐던 만큼 호재로 받아들일 만한 것이 없나 애써 찾는 모습이었다.
때문에 기획재정부가 장기국채 비중확대를 지속할지 고민하고 있다는 보도가 반가웠을법 하다. 장기채 금리도 많이 올랐는데, 만약 장기채 비중을 줄인다면 수급상 호재다.
그러나 곧 이를 부인하는 보도가 잇따랐고 재정부는 결국 장기채 비중조정을 검토한 바 없다고 해명자료까지 냈다. 그렇지만 채권금리는 되레 더 아래쪽으로 내려가는 모습이었다.
기존 정책에서 크게 달라진 것 없다는 소식에 매도세가 나오기도 했지만 손절성 매수세에 묻히면서 쉽게 매도할 수 없는 분위기가 조성됐다. 이와 함께 외국인 채권 과세와 같은 해외 자본유입 규제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갑자기 부각됐다.
그만큼 채권시장이 호재에 목말랐다는 증거다. 금리는 어느정도 올라서 살만한 수준인데, 살 핑계가 필요했다는 의미다.
하지만 이날 채권 강세에 기술적 반등 이상의 의미를 부여하지는 않는 모습이다. 금리가 이만큼 떨어질만한 이유가 없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날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시작된다. 결과는 하루 더 기다려 12일 오후 4시에 공식 발표되는 공동성명을 봐야겠지만, 환율문제에 대해 합의를 도출해내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 이에 앞서 열린 재무차관, 셰르파 회의에서는 단어 하나를 놓고 언성을 높이면서 첨예하게 대립한 것으로 알려졌다.
11월 금융통화위원회도 넘어야할 산이다. 고공비행하는 물가지표 때문에 갈수록 인상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이웃나라 중국의 긴축이 한은을 더 압박하고 있다.
중국은 전일 일부 은행의 지준율을 0.5%포인트 또 인상했다. 지난달 11일 지준율을 한차례 상향조정했고 예대출 금리도 올렸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 시중 유동성 조이기에 또 나선 것이다. 이날 나오는 중국의 10월 소비자물가(CPI) 상승률이 4%를 넘을 것이라는 전망이 높은 가운데 인플레이션 기대를 미리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간밤 나온 미국 10월 수입물가도 뛰었다. 추가 양적완화 기대감에 달러가 약세를 보이면서 원유와 상품가격이 상승한 탓에 수입물가는 6개월 최대폭으로 상승했다. 이는 미국에만 해당되는 얘기는 아닐 것이다.
해외 자본유입 규제 우려가 다시 높아질 수도 있다. 대만이 외국인 투자자들에 대한 투자규제를 시행키로 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가능성이 부각될 수 있다. 대만은 외국인 투자자가 전체 자금의 30% 이상을 대만 국채나 만기 1년 이하의 금융상품에 투자하지 못하도록 했고, 이 밖에도 추가 조치를 내놓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밤사이 뉴욕 연방준비은행이 2차 양적완화 시행 일환으로 다음달까지 1050억달러의 국채를 매입하겠다고 밝히면서 미국 국채는 강세를 보였지만, 국내 채권시장으로 이어지기에는 여건이 녹록치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