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대상 이 작품]갈등과 분열의 시대, 공존의 화두를 던지다

김보영 기자I 2024.03.18 07:38:00

제11회 이데일리 문화대상 연극 심사위원 리뷰
공연예술창작산실 올해의 신작 ''화전''
고려 유신과 화전민들의 공존과 갈등
전통과 현대 조화된 의상과 연출, 음악 눈길

연극 ‘화전’ 공연 장면. (사진=한국문화예술위원회)
[남동진 연극배우] 공연예술창작산실 올해의 신작에 선정된 연극 ‘화전’은 극단 아르케의 선장 김승철이 직접 글을 쓰고 연출까지 맡은 작품이다. 전작 ‘툇마루가 있는 집’과 ‘우리 읍내’ 등 출연자들 간 앙상블에 특히 집중한 작품으로 유명한 연출이다.

‘화전’의 주 배경은 황토색 경사무대다. 그 뒤로 어른 키를 넘는 억새풀 숲이 있으며 무대 상부는 4개의 천으로 아치를 그려 장면마다 조명이나 높이를 전환해 강원도의 험한 산 능선을 연상케 한다.

고려가 멸망해 태조 이성계가 새로운 왕조를 세우던 1398년경 조선 초기. 이야기는 어지러운 나라 사정과 함께 보릿고개를 넘으며 하루하루를 어렵게 연명하던 강원도 정선 서운산 깊은 곳 화전민들의 마을을 배경으로 펼쳐진다. 간신히 입에 풀칠하던 마을 공동 곳간의 귀한 양식이 도난당하자, 곳간에 설치한 덫에 한 사내가 걸린다. 사내의 이름은 박서방(신욱 분). 그에게는 일행이 있었다. 이들은 사실 목숨을 걸고 조선에 쫓겨 정선 골짜기까지 흘러온 고려의 유신 7명, 이른바 칠현들이었다. 칠현 전오륜 대감(이혜성 분)의 아들 전연(송현섭 분)도 함께했다. 살기 위해 신분을 감췄고, 허기진 배에 갈 곳이 없던 이들을 화전민의 리더 촌장(신현종 분)이 받아들인다. 농사라곤 해본 적 없는 유신들은 그렇게 붓 대신 농기구를 든 채 마을에 섞여 들어갔다. 신분격차를 감춘 채 이질적인 화전민들의 삶에 적응하고 부대끼는 과정엔 갈등도 도사렸다. 유신들은 그곳이 앞으로 자신들이 공존하며 살아가야 할 세상임을 느끼고 깨닫는다.

그러나 돌치(한동훈 분)가 이들이 조선에 쫓기어 온 고려의 유신들이란 걸 알며 비극적 결말을 향해 달린다. 유신과 화전민들이 어우러져 있던 날, 이랑(윤슬기 분)과 전연(송현섭 분)이 신분격차를 뛰어넘어 되돌릴 수 없는 관계를 하는 광경을 돌치가 목격한 것. 돌치의 분노는 마을에도 퍼진다. 이들이 조선의 역적 고려 유신들이라는 사실이 알려지자 조선 병사들을 찾아갔다. 위기를 느낀 유신들은 촌장과 일부 마을 사람의 도움을 받아 황급히 떠난다. 도착한 병사들은 산에 불을 질렀고, 유신들과 화전민의 공존은 그렇게 불바다로 끝나버린다. 강렬히 울린 붉은 화염의 효과음과 정선아라리 소리가 비극을 더욱 극대화한다.

극의 배경은 조선 초기이나, 등장인물들은 현대 의상을 입고 있다. 배우들은 주로 관객을 향해 정면을 바라보며 연기한다. 그러다 중간 중간 서로를 바라보고 만지며 서로 다른 신분과 가치관에서 비롯되는 갈등을 표현한다.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것처럼 느껴지는 표현이다.

음악 역시 아쟁, 가야금 대신 건반, 북, 대고, 콘트라베이스, 첼로, 바이올린 등을 사용해 우리의 전통악기와 현악기가 서로 어우러지는 결합을 구현했다. 특히 바이올린의 소리가 우리의 전통악기와 비슷한 느낌을 갖는 점이 놀랍다. 복잡하지 않은 간단한 플롯에 라이브의 음악이 한껏 생기를 준다.

한동안 시대극이 부재했던 아쉬움을 덜어주는 작품이다. ‘화전’이 계기가 되어 앞으로도 시대극들이 많이 창작되길 바라는 바다. 다만 연기의 표현과 반복되는 라이브 음악의 리듬이 더욱 다양하게 보강이 되었다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은 있다. 과거에서부터 현대까지 생각의 격차, 빈부의 격차가 빚어내는 갈등들은 점점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결국 함께 사는 세상이다. 극 중 촌장처럼 서로 인정하고 포용하는 사람들이 더 많아진다면 어떨까. 진정 공존할 수 있는 세상을 향한 바람이 느껴지는 공연이다. 연극의 결말처럼 미래의 시대도 비극으로 끝나지 않길 바라며.

연극 ‘화전’ 공연 장면. (사진=한국문화예술위원회)
연극 ‘화전’ 공연 장면. (사진=한국문화예술위원회)
연극 ‘화전’ 공연 장면. (사진=한국문화예술위원회)
남동진 연극배우.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