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벌은 분당 약 1만회 이상의 날갯짓을 한다. 그런데 올봄 ‘윙윙’ 소리를 내며 꿀을 채집할 꿀벌들이 소리소문 없이 사라졌다. 지난 겨울에만 78억마리의 꿀벌이 폐사했다. 폐사 원인 중 하나로 꿀벌의 행동·발달·생리적 장애를 야기하는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가 꼽히고 있다. 서구에선 퇴출 중인 살충제가 국내에선 ‘광범위한 지역과 개화기에 한해’ 살포를 주의하라는 안전사용기준으로 관리되고 있다.
◇지구 살림꾼 꿀벌의 실종 왜?
지난해 말부터 올 초까지 월동 중인 꿀벌이 실종됐다. 전체 양봉농가 2만4044가구 중 4295가구의 벌통에서 꿀벌이 증발했다. 1232만군 중 40만군이 피해를 입었다. 당국은 실종된 꿀벌이 60억~78억마리에 이르는 것으로 내다봤다.
양봉업계는 발칵 뒤집혔다. 여러 벌집에서 ‘동시다발적으로’ 군집 붕괴 현상이 시작된 것 아니냐는 우려에서다. 군집붕괴현상이란 꿀과 꽃가루를 채집하러 간 일벌들이 모종의 이유로 돌아오지 못하면서 여왕벌과 애벌레가 집단 폐사하는 것이다. 국내에선 여왕벌조차 없어진 벌집이 다수 발견되기도 했다.
|
그러나 서울환경연합은 지난 8월 1일 기자회견을 열고 “우리나라에선 인정하지 않으려고 하지만 전세계적으로 지목된 꿀벌 떼죽음의 원인은 꿀벌의 산란과 행동을 교란하는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라고 지적했다.
◇ 서구선 퇴출 중인데 한국선 남용
1985년 다국적 제약회사 ‘바이엘’이 개발한 네오니코티노이드 계열 살충제는 니코틴계 신경 자극성 살충제로 곤충의 신경계를 교란해 죽게 한다. 네오니코티노이드 살충제는 곤충에 치명적인 것과 달리 사람과 가축에 비교적 덜 영향을 줘 널리 사용돼 왔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와 세계보건기구(WHO)는 “네오니코티노이드 살충제가 꿀벌과 다른 유익한 곤충에게 대규모 부정적 효과를 야기할 수 있다는 증거들이 빠르게 늘고 있다”고 경고했다. 이에 따라 유럽연합(EU)은 꿀벌 보호를 위해 2018년 말부터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 3종의 실외 사용을 금지했다. 올해 2월 미국 캘리포니아주도 해당 계열 살충제 57종의 사용을 금지했다. 올해 6월 16일 미국 환경 보호국(EPA)은 생물학적 조사 결과 네오니코티노이계 살충제가 멸종위기종 동식물 약 4분의 3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밝혔다.
|
서울환경연합이 지난 7월 21일 발간한 ‘서울 공원·가로수·궁궐 일대 고독성 농약 남용 실태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21년까지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는 서울 자치구 평균 267kg이 쓰였다. 강동구는 1677kg를 사용했다. 그 뒤를 송파구(643kg), 강서구(412kg)가 이었다. 서울서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 살포량은 전체 농약 살포량의 약 22.4%에 달했다.
성분표기 자체에서 ‘꿀벌 독성이 강함’으로 표기된 농약들은 서울시 전체 살충제 사용량의 82.5%에 달했다. 해당 제품들은 인축독성이 낮았지만, 곤충과 해양생물에 악영향을 끼쳤다. 강동구(3375kg), 송파구(2351kg), 양천구(1821kg), 강남구(1772kg) 순으로 남용됐다.
◇“살충제 때문 아니다” 농촌진흥청, 연구는 전무
2023년 농촌진흥청 예산은 올해보다 632억 원 증가한 1조 2525억 원으로 확대 편성됐다. △꿀벌 강건성 연구(15억 원) △꿀벌자원 육성품종 증식장 구축(36억 원) 등이 신규 편성됐다. 그러나 농진청은 현재로선 내년에도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가 꿀벌 등 곤충 폐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지 않을 계획이다.
농진청 관계자는 “중간 R&D 계획 리스트에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 연구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농진청은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가 꿀벌 폐사와 직접적 인과관계가 없다는 입장이다.
최용수 국립농업과학원 양봉생태과 연구관은 지난 6월 13일 ‘KTV 국민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 4종 농약에 대해선 꽃이 질 때까지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면서도 “해당 살충제와 꿀벌 피해의 연관성 조사에서 직접적 상관관계가 확인되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최진우 서울환경연합 생태도시전문위원은 “농진청 스스로 농약과 꿀벌 폐사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할 연구를 진행하지 않고 상관관계를 찾지 못했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농진청 관계자는 네오니코티노이드계 규제에 대해 “2013년부터 2014년까지 농약평가를 진행했다. 꿀벌에 유해성이 높은 농약은 신규 품목을 등록하지 않고 있다”며 “꿀벌에 대한 독성 정도에 따라 주의사항을 구분해 ‘꿀벌이 있을 시 살포하지 마십시오’ 등 주의사항 문구를 라벨에 표기하도록 조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