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온누리스마일안과(김부기 원장팀)에서 MZ세대 근시 환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안경을 장기간 착용하면서 외모 불편과 자신감이 떨어지는 등 심리적 위축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강남 온누리스마일안과와 온누리안과병원에서 스마일라식 시력교정수술을 받은 근시 환자 221명을 조사한 결과, 수술 전 시력 보완 방법으로 안경 단독 착용이 38%(84명) 렌즈 단독착용 8.6%(19명)이었으며 49.8%(110명)는 안경과 렌즈를 병용해서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근시환자의 72.8%(161명)가 10년 이상 장기간 안경 착용했으며, 7년 이상 렌즈 착용자도 26.2%(58명)에 달했다.
주목할 점은 불가피하게 장기간 안경과 렌즈로 시력을 보완하며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문제들을 일상에서 감내하고 있다는 점이다. 조사에 참여한 환자(복수응답) 81%(179명)가 안경으로 인해 눈, 코 변형 등 외모 불편을 경험했다고 답했으며, 자신감 저하와 위축 48.0%(106명), 저시력으로 인한 우울감을 느꼈다고 대답한 환자도 21.7%(48명)를 차지했다. 이 외에도 안경 착용 외모 놀림 경험 14.5%(32명), 넘어지고 다친 사고 7.2%(16명), 취업·결혼·직장 등 불이익 5.9%(13명)를 차지했다.
시력교정 수술을 결심한 주된 동기는 안경 렌즈 불편 해소가 67.4%(149명)으로 많았지만 미용적 이유와 주변인 수술을 보고 자신감을 얻었다는 답변도 각각 34.8%(77명)를 차지했다. 설문에 참여한 MZ세대 스마일라식 수술 환자는 여성 110명(49.8%), 남성 111명(50.2%)이었으며 92.8%(205명)가 미혼자였다. 직업별로는 학생(35.3%)과 직장인(33.9%)이 다수였고 취업준비생,자영전문직,군인 등 다양했다.
김부기 원장은“안경과 콘택트렌즈는 나쁜 시력을 보완해주는 데 꼭 필요 하지만 운동이나 뜨거운 음식 섭취 등 일상의 불편 뿐만아니라 눈 코 변형, 사고 위험, 자신감 위축 등 신체적 정신적으로 개인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한번 나빠진 눈은 다시 좋아지지 않기 때문에 안경과 렌즈 불편을 해소하는 유일한 방법은 시력교정수술이다. 전통적인 라식·라섹 부터 최근 수술이 가장 많은 스마일라식, 그리고 레이저 시력교정이 불가능 한 경우 마지막 대안인 안내렌즈삽입술(ICL) 등 다양하다. 이들 방법은 기본적인 수술 방식의 차이부터 수술비용, 회복 기간, 안구 건조와 빛 번짐 등 후유증 정도 등 각각 다른 장단점과 변수를 가지고 있다.
김부기 원장은“시력교정은 유행이나 시간에 쫓기지 말고 정확한 검사와 상담을 통해 자신에게 최적의 방법을 찾아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며“특히 근시에 난시까지 심하면 각막 깎는 양이 늘어 후유증 생길 수 있는 만큼 주의 깊게 접근을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