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김인식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내 7월 상장 ETF는 주식 테마 상품 2개와 자산배분형 1개로 구성됐으며, 디폴트 옵션 도입을 앞두고 6월 말 타깃데이트펀드(TDF) 유형의 ETF 상품 10개가 상장되면서 7월 상장 흐름은 다소 제한됐다”라고 분석했다.
그는 “ETF지만 개별종목의 방향성에 투자할 수 있는 상품이 미국에도 출시되고 있다”면서 “이미 영국 런던거래소에서 단일 종목 대응 ETP상품이 운용되고 있던 가운데, 미국 증시에도 테슬라(-1배), 엔비디아(1.25배), 나이키(2배/-2배), 페이팔(1.5배/-1.5배), 화이자(2배/-2배)의 5개 종목에 대한 레버리지·인버스 ETF 8개가 상장됐다”고 강조했다.
다만, 이러한 상품들은 단일 종목 대응인 만큼 ETF의 기본적인 특성인 포트폴리오 분산효과를 누리지 못 할뿐 더러 레버리지형으로 구성돼 있어 큰 변동성에 노출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리스크 요인을 감안하고도 시장환경 조성을 위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상품 출시를 승인했다.
|
다만 그는 “그럼에도 한국거래소가 상장지수상품(ETP) 시장 활성화를 위한 규제 완화에 나서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이라고 판단했다. 앞서 거래소는 오는 8월 말을 목표로 존속 기한이 있는 채권 ETF 상장을 허용함과 동시에 ETF 순자산총액 1% 초과종목 교체 시 신고의무를 폐지해 ETF 공시의무를 완화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유가증권시장 상장규정 및 시행세칙 개정 예고’를 지난 21일 공개했다.
김 연구원은 “액티브 ETF 활성화를 위한 자산구성내역(PDF) 지연 공개나 추적오차 비율 완화 등의 내용은 아니었지만 만기형 채권 ETF 상장 등 다양한 방면으로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는 점은 유의미하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