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학종 비교과 폐지 눈앞…일자리 잃게 생긴 입학사정관들

신하영 기자I 2019.11.05 06:59:00

교육부 이달 대입공정성 강화방안서 학종 대대적 손질 예고
유은혜 “부모 정보력·경제력 영향받는 비교과 과감히 손질”
사정관들 “자동봉진 없애면 학종 폐지수준…집단패닉 상태”

자유한국당 조경태 의원이 2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정시 확대 및 수시 학생부종합전형(학종) 폐지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사진=뉴시스)


[이데일리 신하영 기자] “학생부종합전형(이하 학종)이 무력화되면 입학사정관들은 대규모 구조조정을 당할 수 있다.” 교육부의 학종 실태조사와 대입 공정성 강화방안 발표를 앞두고 대학 입학사정관들이 집단 패닉에 빠졌다. 학교생활기록부(학생부)의 비교과 영역이 대폭 폐지될 경우 학종의 의미가 없어지고 평가 주체인 입학사정관들은 한꺼번에 일자리를 잃을 수 있어서다.

◇ 부모 영향 미치는 `학종 스펙` 폐지·축소될 듯

4일 교육계에 따르면 교육부는 조만간 대학 학종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교육부는 이른바 조국 사태로 학종 불공정 논란이 커지자 지난달 초부터 13개 대학(건국대·경희대·고려대·광운대·동국대·서강대·서울대·성균관대·연세대·홍익대 등)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진행해왔다. 교육부는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이달 말까지 대입 공정성 강화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조사에 착수한 배경이 조국 전 법무부장관 자녀의 입시 특혜 의혹에 있기에 향후 개선방안도 여기에 초점이 맞춰질 전망이다. 조 전 장관 딸의 경우처럼 부모의 사회적 지위가 영향을 미치는 `비교과 스펙`은 대폭 축소·폐지가 예상된다.

◇ 정시 수능선발 늘고 학종 축소될 듯

학종 평가를 담당하는 대학입학사정관들은 비교과영역 중 이른바 `자동봉진`(자율활동·동아리활동·봉사활동·진로활동)이 폐지될 경우 학종이 가진 의미를 상실한다고 보고 있다. 학종은 교과성적 뿐 아니라 동아리·봉사·진로활동 등 비교과영역을 종합 반영하는 전형이다. 대학은 이를 통해 학생의 적성·특기·전공적합성 등을 평가해 합격자를 가린다. 서울 소재 사립대 A입학사정관은 “자동봉진 중 동아리·진로활동만 폐지돼도 학생의 전공 적합성을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사실상 학종이 폐지된다고 할 수 있다”며 “지난 10년간 학종 내실화를 위해 노력해 왔는데 불공정 입시의 대명사가 학종인 것처럼 돼 버려 상실감이 크다”고 했다.

교육부가 이달 말 내놓을 대입공정성 강화방안에는 서울 주요 대학에 대한 정시 확대 요구가 담길 예정이다. 반면 학종에 대해선 선발 축소와 대대적 손질을 예고했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지난달 25일 교육관계장관회의 직후 기자회견을 열고 “부모의 정보·경제력이 크게 영향을 미치는 학생부 비교과영역은 과감히 손질할 것”이라고 했다.

비교과영역의 대폭 폐지로 학종이 무력화되거나 선발 비중 자체가 축소될 경우 입학사정관 대량 해고로 이어질 수 있다. 비교과영역에 대한 정성평가가 축소되면 사정관들의 역할도 줄어들 수 있어서다. 또 서울 상위권 대학들이 정시 선발을 대폭 늘리고 학종을 축소할 경우에도 사정관들의 고용 불안은 커진다.

◇ 사정관 정규직비율 18% 불과…고용 불안 커져

입학사정관의 정규직 비율이 낮다는 점도 이들의 불안감을 부추기는 요소다. 일반대학 간 협의체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에 따르면 정부의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 사업대상 68개교의 올해 전임 입학사정관 수는 모두 772명이다. 이 가운데 정규직은 138명으로 17.9%에 불과하다.

전임 입학사정관들은 비교적 고용 안정성을 보장받지만 계약직·무기계약직 사정관들은 학종이 대폭 축소될 경우 일자리를 잃을 수 있다. A사정관은 “전국 대학의 입학사정관 중 상당수가 비정규직”이라며 “향후 일자리를 잃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이들의 공포감이 상당하다”라고 토로했다.

교육계에선 교육부로부터 정시 확대 요구를 받은 서울 상위권 15곳의 정시 선발비율이 40~45% 이상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수시에서 충원하지 못해 정시로 이월하는 인원까지 포함하면 정시 선발은 45~50%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일각에서는 서울 상위권 대학들이 정시 비율을 60~70%까지 늘릴 것으로 본다. 교육계 관계자는 “학종은 대학으로서는 손이 많이 가는 전형이고 학생부교과전형의 경우 상위권 대학은 대부분 지원자가 1등급대라며 변별력이 없다고 주장한다”며 “학생부교과전형과 학종을 더 이상 늘리지 못할 경우 아예 정시를 대폭 늘려버릴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대학들의 정시 확대 흐름이 확산될 경우 입학사정관들의 고용 불안은 더 커질 수 있다는 의미다.

고교교육 기여 대학 지원사업 선정 68개 대학의 입학사정관 현황(단위: 명, %, 자료: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