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단기적으로 에너지 업종이 방어주 역할을 할 수 있고, 이 외 금융, 통신, 음식료 등 전통적인 방어 업종이 선방할 가능성이 높다는 조언이 따른다.
우선 △2001년 9·11 테러 발생일 당시 S&P500은 -11.6% 급락한 점을 짚었다. 그러나 31거래일 만에 하락분을 모두 되돌렸다는 설명이다. △2020년 이란 군부 장군이 공습으로 사망했을 당시 S&P500은 5거래일 만에 하락분을 모두 되돌렸으며, △2021년 미군이 아프가니스탄에서 철수했을 때엔 3거래일 만에 하락세를 되돌렸다.
또 러시아의 크림반도 점령에 따른 유럽 서방국가들의 제재 압력이 심화됐던 구간을 짚었다. 당시 미국 서부텍사스원유(WTI) 가격은 배럴당 100달러 선이었으나, 추가 상승폭은 크게 높지 않았고, 미 10년 장기물 또한 오히려 하방압력이 확대되는 흐름이었다. 이에 위험자산선호심리가 회복되는 기간도 그리 길진 않았다. S&P 500과 코스피는 약 한 달 간 기간 조정을 거치고 이후 상승흐름을 나타냈다.
다만 산유국 지역 내 물리적 충돌 가능성이 장기화 될 경우엔 증시 영향도 불가피할 것으로 봤다. 1990년 당시 발생했던 걸프전은 사태가 일단락되기까지 6개월 가량이 소요된 바 있다.
이 연구원은 “WTI의 절대적인 레벨은 낮았으나, 발생 이후 최대 70% 상승했으며, 미 국채 10년물 금리도 70bp(1bp=0.01%포인트) 가량 상승했다”며 “이에 당시 S&P 500과 코스피가 하락분을 대부분 회복하는 데 소요됐던 시간은 6~7개월 가량이었다”고 전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러시아발 지정학적 리스크 장기화 가능성은 낮게 보고 있다고 언급했다. 코로나19 등 위기 국면과 비교했을 때 이머징채권금리(EMBI) 스프레드 급등 폭은 제한적이며, 러시아 CDS 프리미엄은 2014년 서방유럽 국가 제재 국면 대비 낮은 수준이란 설명이다.
변수는 유가로 꼽았다. 이 연구원은 “지정학적 리스크가 해소되지 않는 현 시점에서는 유가 시나리오에 따른 선별적인 접근이 필요한 구간”이라며 “동사가 예상하는 WTI의 1분기 평균 컨센서스는 약 90달러로 이를 상회하는 구간은 물가 하향 안정화가 지체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WTI가 90달러를 상회할 시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부각되면서 △단기적으로는 에너지 업종이 방어주 그 외 △금융·통신·음식료 등 전통적인 방어주 성격 업종이 선방할 가능성이 높다고 제시했다.
이 연구원은 “WTI가 하향 안정화 가능성이 높아질 경우엔 실질 임금 반등 여력이 높은 구간에서 내수 소비 기대감이 높은 업종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며 “과거 실질 임금이 상승했던 2011년 하반기는 IT(H/W, 가전, 반도체) 업종의 약진이 관찰됐다”고 전했다.